저자 : 강양희
아파트와 논밭이 함께 있는 수도권 도시 시흥에서, ‘더불어 행복한 배움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학교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이론이 아니라 학생들의 삶을 위한 국어 수업을 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경기국어교사모임 회장을 맡고 있으며, 2009개정교육과정 중학 국어교과서와 2015교육과정 중학 국어교과서를 집필했습니다. 함께 지은 책으로는 『선생님과 함께 읽는 자전거 도둑』 『질문이 있는 교실』 등이 있습니다.
저자 : 강현
꿈꾸는 하얀 조약돌을 아이들 마음 안에 던지고픈 선생님이다. 전국국어교사모임 광주모임모임의 회장이며, 광주모임의 독서 소모임인 ‘상캐’에서 선생님들과 함께 청소년 소설을 읽으며 생각을 서로 나누고 있다.
저자 : 김상용
국어가 좋아지는 수업을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 가고 싶어 하는 선생님이다. 전국국어교사모임의 독서 교육 모임인 ‘물꼬방’에서 공부하고 있고, 전국국어교사모임 부산모임의 회장과 ‘중학교수업연구모임’의 장을 맡고 있다.
저자 : 김언주
아이들이 다른 사람의 입장을 상상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국어 수업을 중시한다. 전국국어교사모임 서울모임의 사무국장을 맡고 있으며, 서울모임의 중학교 수업 모임인 ‘새샘’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자 : 김중수
19년 동안 중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쳤습니다. ‘(사)전국국어교사모임’ 부산회장, 청소년문예지 《푸른글터》 편집위원, ‘우리말교육현장학회’ 편집위원 등을 맡고 있습니다. 2007년에 김창오 박사의 ‘교사리더십상담’ 연수를 듣고 나서 교사로서 꼭 필요한, 상대를 편안하게 해줄 힘, 대화의 주도권을 쥐는 힘, 관계를 바꾸는 힘, 그래서 상대를 바꿀 힘을 가진 대화의 기술을 얻게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가장 깐깐한 생활지도부장을 하면서도 아이들에게 사랑받는 길이 있습니다. 아무리 이상한 학교 관리자나 학부모를 만나도 항상 관계의 주도권을 유지하는 길이 있습니다. 학생과 교사 사이의 갈등, 학생들 사이의 갈등을 위기가 아니라 관계 개선의 기회로 여길 수 있는 길이 있습니다. 눈앞의 문제가 해결되어야만 이 괴로움, 슬픔, 분노, 무기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길’이 있음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특히 학교의 아이들이 어릴 때부터 그러한 방법을 깨닫고, 배우고, 사용해서 행복한 인생을 살도록 도와주고 싶습니다.
저자 : 김지령
아이들이 책 속에서 함께 웃고 울 줄 아는 마음을 가지고 자라, 어른이 되어서도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선생님이다. 전국국어교사모임 경기모임의 사무국장이며, 안산·시흥 모임인 ‘열정’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자 : 안용순
수업이 지루해져서 전국국어교사모임 연수를 갔다가 전국국어교사모임과의 사랑에 풍덩 빠졌다. 국어 수업을 바꾸기 위해 맹렬하게 애쓰고 있으며, 서울모임인 ‘새샘’에서 선생님들과 소설을 읽어 오고 있다. 전국국어교사모임의 ‘우리말연구소’ 부소장,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상임 이사이다.
저자 : 윤기자
천안 병천고등학교(조리·미용 특성화고)에서 국어를 가르치고 있고, 1983년에 교사가 되어 37년째 국어교사로만 근무하는 외곬의 삶을 살았다. 1993년 백제문화제 백일장에서 산문부 장원, 1994년에는 전국 독후감쓰기 대회 대상(내무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아이들과 함께 하는 삶이 행복해 가르치는 일에 심혈을 기울였다. 아이들의 자존감을 기르고, 스스로에 대한 마음 들여다보기를 하도록 하기 위해 주로 창작소설 및 창작시 동아리를 운영하고, 학생들이 쓴 시를 모아 매년 학급별로 창작시집을 발간한다.(비매품)
학생들 독서논술을 지도하는 '생각누리 글누리' 교사동아리를 운영하였고, 교사들을 대상으로 독서지도, 좋은 수업 등에 대하여 공주교원연수원, 천안교육지원청, 각급중학교에서 강의하였고, 저서로는 [논술] 교과서, [교직실무] 등의 공저가 있다.
편집 : 전국국어교사모임
전국국어교사모임은 1988년 ‘국어교육을 위한 교사모임’으로 시작하여 국어교육의 올바른 길을 찾기 위해 애쓰는 국어 교사들의 연구·실천 모임입니다. 신나고 재미있는 국어 수업, 삶을 가꾸는 국어교육을 꿈꾸며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읽기 자료와 국어 교사들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국어교육 이론서 및 수업 안내서를 기획하고 집필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