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식탁 위의 생명공학

개정판 2판


  • ISBN-13
    978-89-6291-114-5 (0347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푸른길 / (주)푸른길
  • 정가
    1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9-08-24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농업생명공학기술바로알기협의회 , 최양도
  • 번역
    -
  • 메인주제어
    농축산업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기술/공학 #농수산/축산 #농수산일반 #농학이론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4 mm, 192 Page

책소개

이 책의 설명 과학기술 자체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자연계에서는 파란색 장미를 찾을 수 없다. 이것은 색소를 주관하는 유전자와 관련이 있는데 오랜 연구 끝에 이 색소 유전자를 조절하여 파란 장미를 현실로 이끌어 낸 것이다. 간단하게 원리를 설명하자면, 장미의 붉은색과 주황색 색소를 억제한다. 동시에 청색 색소를 형성하는 효소유전자를 아이리스 등에서 분리 이식하는 것이다.

이처럼 생명공학은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것을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비타민 A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쌀, 잘 무르지 않는 토마토, 카페인이 없는 커피, 병충해에 강한 옥수수 등 이미 우리가 깨닫지 못하는 사이에 많은 생명공학 작물이 우리의 식탁 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생명공학 식품의 비중과 수요는 앞으로도 점점 더 늘어 갈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가 먹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먹을 필요가 있다. 생명공학 작물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취급하여야 하는지,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공학 작물에 대한 지식들은 과연 모두 사실인지 만나본다.

목차

목차

목차

1. 생명공학 작물
1. 전통 교배와 녹색 혁명
2. 생명공학 기술의 출현
3. 생명공학 작물의 명명
4. 생명공학 작물의 이점과 안전성

2. 생명공학 작물의 역사와 현황
1. 생명공학 작물의 역사
2. 생명공학 작물의 재배 현황

3. 생명공학 작물의 개발 과정
1. 유용 유전자 발굴
2. 유전자 재조합
3. 재조합 유전자의 이식 방법
4. 재분화와 생명공학 작물의 품종화
5. 마커 프리 기술
6. 색소체 형질 전환

4. 생명공학 작물의 실체
1. 생명공학 작물 개발의 실례와 육성 원리
가. 제초제 내성 작물
나. 해충에 견디는 작물
다. 바이러스 병 저항성 작물
라. 지방산의 조성을 개선한 유료작물
마. 전분 함량 및 구조 개량 작물
바. 쉽게 무르지 않는 생명공학 토마토와 백신 토마토 육성
사. 환경 스트레스 저항성 생명공학 작물
아. 곰팡이 및 세균병 저항성 생명공학 작물
자. 수확량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초다수확성 벼
차. 카페인이 없는 커피
카. 청색 장미와 카네이션
타. 지뢰를 탐지하는 식물
파. 복수 유전자 이식 및 후대 교배종
2. 생명공학 벼 연구의 현황과 전망
3. 우리나라의 현황
4. 생명공학 작물의 효과

5. 생명공학 작물 식품의 평가 및 관리 체계
1. 생명공학 작물의 식품 안전성 평가
2. 식품 안전성 평가 원칙 및 방법
3. 우리나라에서 생명공학 식품의 안전성 검사 실례
가. 실질적 동등성 판단
나. 형질 전환체 개발 목적과 이용 방법
다. 숙주에 관한 사항
라. 벡터에 관한 사항
마. 이식 유전자와 그 산물에 관한 사항
바. 형질 전환체에 관한 사항
4. 생명공학 작물의 환경 안전성 평가
5. 환경 위해성 평가 원칙 및 방법
6. 우리나라에서 유통이 허가된 생명공학 작물

6.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관리 현황
1. 우리나라
2. 미국
3. 일본
4. 캐나다
5. EU
6. OECD

7. 생명공학 작물의 소비자의 선택권
1. 우리나라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 표시제
2. 각국의 유전자 변형 생물체 표시제
3. 공인 검사 방법
가. 효소 면역학적(ELISA) 방법
나.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방법

8. 생명공학 작물의 안전성 논란과 과학적 사실
1. 인체 안전성 논란 내용과 과학적 사실
가. 푸스타이 박사 사건
나. 스타링크 옥수수 사건
다. 호주의 바구미 사건
라. 에르마코바 사건
마. 인도의 양 떼죽음 보도 사건
2. 환경 안전성 논란 내용과 과학적 사실
가. 슈퍼 잡초 발생설
나. 야생 제왕나비 애벌레 살해 사건
3. 맺는 글

9. 생명공학 작물의 가능성과 미래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농업생명공학기술바로알기협의회
없음
저자 : 최양도
없음
1996년 인문과학 도서를 출간하면서 출판계에 첫 발을 내디딘 후, 실용서와 아동서로 분야를 확대하였으며 지리학 관련 학술 서적과 지리 관련 답사 여행기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