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서울대 10개 만들기

한국 교육의 근본을 바꾸다


  • ISBN-13
    979-11-5930-204-6 (0337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살림터 / 도서출판 살림터
  • 정가
    1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12-0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종영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교육 일반 #교육과정/교육평가 #교육사/교육철학 #교육학 #국내도서 #대학교재/전문서적 #사범계열 #사회과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348 Page

책소개

이 책의 설명 왜 한국만 교육지옥인가?
우리가 ‘대통영’이 되어야 하는 이유를 밝히다 교육을 더 낫게 만들겠다는 구호가 천지사방에 넘쳐난다. 교육개혁이란 이름으로, 교육혁신이란 이름으로. 행복한 교육을 만들겠다는데 우리의 배움은 ‘왜’ 이토록 힘든 걸까? 대한민국 교육은 더 나아질 수 있을까? 대한민국 교육이 더 나아지려면 도대체 뭐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 이 책에서 김종영 교수는 바로 이 질문에 분명한 대답을 내놓는다. 서울대를 10개 만들자고. 가능할까? 배움이 즐거운 대한민국 사회를 향한 첫걸음, 다 함께 성장하는 대학의 변화를 위한 이 방안을 둘러싸고 시끄럽게 온 국민을 일깨웠으면 좋겠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프로젝트가 아직 대한민국이 가 보지 않은 길을 내다보고 첫발을 떼는 디딤돌이 되기 바란다.

목차

프롤로그 / 왜 한국만 교육지옥인가?

1장 당신은 한국교육현실에 맞는 이론을 공부하지 않아 혼돈에 빠졌다
교수님 덕분에 기자 됐어요!: 전사 사회
개천용 모델은 왜 틀렸나?: ‘개천용 학파’ 비판
모두 원인과 결과를 혼동하고 있다
지위권력과 창조권력으로서의 대학
SKY 지위권력을 향한 투쟁: 지위경쟁이론
연구중심대학의 승리: 대학사회학의 기술기능론
교육의 사회물리학(Socio-Physics): 병목사회론

2장 교육지옥은 대학병목체제 때문에 발생한다
대학체제의 세 가지 모델: 평준화, 다원화, 독점화
유럽식 평준화 모델
프랑스대학체제의 예외주의와 한국 대학개혁 비전의 대혼란
영국대학체제의 특이성과 문제점
미국식 다원화 모델
한국식 독점화 모델

3장 강고한 교육지옥동맹
교육지옥동맹: 정부 관료, 중상층 학부모, 사교육 세력
학종 지옥이냐 정시 지옥이냐
학종이라는 판옵티콘: 학생의 해부학
학벌 포르노의 사회적 구조

4장 무능한 교육개혁 세력
입시파 때문에 망했고 또 망할 것이다
안티 오이디푸스: 데이터주의자
국가교육위원회주의자
4차산업혁명주의자
대책 없는 완벽주의자
좋은 막말주의자

5장 교육혁명을 위한 두 개의 철학적 탐구: 정의와 지능
평평한 운동장 모델은 틀렸다
기회의 평등, 과정의 공정, 결과의 정의: 당신은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른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마이클 조던과 르브론 제임스의 농구 IQ
지능과 환경은 공진화한다
교육혁명을 위한 진격

6장 ‘대통영’ 학파: 대학통합네트워크론의 역사적 진화
‘대통영’ 학파의 맹아와 대학평준화 운동의 부상
‘대통영’ 학파의 세 가지 접근: 최대주의자, 입시파, 최소주의자
대학통합네트워크의 설계자, 정진상은 천재다
민교협 대학개혁안의 장단점
서울교육청 대학개혁안의 장단점
대국민 동원과 설득을 위한 대학개혁안: 사걱세와 이범 버전의 장단점
완벽은 좋음의 적이다: 반상진과 김영석 버전의 장단점

7장 서울대 10개로 구성된 대학통합네트워크
캘리포니아대학체제의 벤치마킹
9개 거점국립대학의 구조조정과 대개혁
지방대가 서울대 될 수 있나요?: 스루프공대(칼텍)의 교훈
스탠퍼드도 ‘듣보잡’이었다
공간권력의 삼권분립: 부산과 광주는 세계적인 도시가 될 수 없다

8장 서울대 10개 만들기 전략과 방향
창조는 저항의 극복이다: 최소주의자 전략
수천만 원짜리 이미지: 대학 이름을 ‘서울대’나 ‘한국대’로 바꾸어라
예산의 격차가 대학의 격차다: 10개 대학에 서울대만큼 예산을 투입하라
국가는 상징자본의 중앙은행이다: 서울대 학위의 양적 완화
파리고등사범에서 PSL 대학으로: 대학의 통폐합과 특성화를 단행하라
나파 밸리, 실리콘 밸리, 소렌토 밸리: 탁월한 산학관 네트워크를 만들어라
서울대 공대 교수들의 지혜: 축적의 시간을 주어라

9장 계급병목과 대학무상교육
사교육비와 계급병목
OECD 지표를 보다가 충격을 받다: 쓰레기통에 처박힌 한국 대학
대학등록금과 계급병목
대학무상교육 11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종영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연구 분야는 교육사회학, 지식사회학, 과학기술사회학, 세계화의 사회학, 사회운동론 등이다.
저서로 경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식과 권력’ 3부작이 있는데, 2015년 첫 책으로 미국 유학파 엘리트의 형성과 헤게모니 장악, 기득권 유지를 본격 조명한 『지배받는 지배자: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한국사회학회 선정 2015년 올해의 저서상 수상, 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을 발표하며 주목을 받았다. 2017년 한국의 지식정치를 국가 중심의 지배지식동맹과 시민사회 중심의 시민지식동맹의 대결로 분석한 두 번째 책 『지민의 탄생: 지식민주주의를 향한 시민지성의 도전』(문화체육관광부 세종도서)을, 2019년 한의학의 근대화를 창조적 유물론으로 설명한 『하이브리드 한의학: 근대, 권력, 창조』(대한민국 학술원 우수도서)를 출간하였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