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월인천강지곡

훈민정음으로 불경을 노래하다


  • ISBN-13
    979-11-91406-06-1 (9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나녹 / 나녹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11-1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해진
  • 번역
    -
  • 메인주제어
    언어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고전 #국내도서 #기호학/언어학 #불교 #불교 문학 #산문 #소설/시/희곡 #언어학/언어사 #우리나라 옛글 #인문학 #종교/역학 #한국어/한문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316 Page

책소개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부처의 생애를 새로 창제한 훈민정음으로 써서 곡을 붙인 최초의 문헌임을 밝힌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이 책을 통해 훈민정음 창제 동기와 목적, 한글 문장의 실험과 교육 정책, 편찬에 참여한 인물과 역할, 정부 신료들의 집요한 반대와 저항 등을 각종 문헌을 통해 규명하고, 20권의 『월인석보』에 흩어져 있는 300여 곡을 모아 현대어로 풀이했다.

“『월인천강지곡』은 세종이 꿈꾼 ‘훈민정음 대장경 프로젝트’의 시작이다. 훈민정음으로 새로운 세상을 열 수 있다는 생각과 쓰임새의 본보기를 한곳, 한 주제로 모아 실험하고 확증해서 ‘앎’과 ‘모름’의 벽을 허문 혁명의 불꽃이다.”고 정의한다.

목차

■ 1장 : ‘새로 지은 불경’과 소헌왕후의 국상
■ 2장 : 훈민정음 3대서, 『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용비어천가』
■ 3장 : 『월인천강지곡』 속의 불경
■ 4장 : 경복궁 내불당 불사와 세종의 승하
■ 5장 : 세종의 유훈으로 내린 신미의 법호, ‘혜각존자’
■ 6장 : 훈민정음 불경의 완성, 『월인석보』 속의 『월인천강지곡』
■ 7장 : 효령대군과 부안 실상사 삼존불 속의 『월인천강지곡』(상권)
■ 8장 : 『월인천강지곡』 원문과 풀이(약 500곡)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해진
강원도 태백 출생. 훈민정음 연구가. 2002년 법주사 대웅보전 해체를 인연으로 혜각존자 신미 대사의 발자취를 찾아 기록하며 훈민정음 창제사와 보급사의 연구에 몰두, 2014년 『훈민정음의 길-혜각존자 신미 평전』을 간행했다. 이 책은 영화 「나랏말?미」의 원안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이 책은 청소년을 위한 책 날아라 훈민정음 의 원전이 되기도 한다. 2021년 영어판이 출간되기도 했다. 『월인천강지곡-훈민정음으로 불경을 노래하다』는 ‘훈민정음 창제의 비밀 코드’를 푸는 첫 북소리다. 『석보상절』의 이야기와 『월인천강지곡』의 노래 속에는 ‘신화’와 ‘삶’이 함께 흐르고 있다. 훈민정음 역사의 앞과 뒤를 명징하게 정리하는 절벽의 길을 계속 걸어갈 계획이다. 대학에서 국어국문학 전공. 1984년 강원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 등단. 단청의 명장으로 활동한 한석성을 인터뷰,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단청』(한석성·신영훈·김대벽·박해진)(2004)으로 정리했다. 사진작가로 활동하며 1998년부터 지금까지 국보·보물로 지정된 전통 건축 해체 보수, 정밀실측의 현장을 기록했다. 사진집으로 『선암사의 건축』(2007, 선암사) 등이 있다. 바둑평론가로도 활동하며 동아일보 주최 국수전 50년의 역사를 정리한 『국수산맥』(2007, 동아일보사)을 펴냈다. 최근작 : 월인천강지곡,훈민정음의 길 … 총 4종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