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에 걸쳐 그리스 여행을 하고 쓴 고대 그리스문명 답사기이자 우리문명 다시보기이다. 필자는 그리스를 여행하면서 본 도기화, 석물, 모자이크의 장식문양이 우리 고려청자 문양과 매우 닮았다는 점을 발견하고는 한반도 문명과 그리스 고대문명은 직접 접촉할 기회가 없었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일어날 수가 있었을까하는 의문을 갖는다.
이 책에는 그리스 여행 중에 본 수많은 그리스 문화유산에 대해서도 친절한 해설을 잊지 않는다. 고대 그리스인이 생각한 미의 객관적 기준으로 그리스 고전기의 명품인 디아두메노스, 아프로디테 여신상의 완벽미를 해설하였고, 그리스 초기 고전기에 제작된 델피 전차경주자상의 얼굴이 왜 그렇게 희로애락의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선정에 든 수도자의 모습을 띄고 있는지를 그리스 철학을 바탕으로 쉽게 설명하며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물론 파르테논 신전을 건축할 때 사용된 돌덩이 고정방법이 실크로드를 타고 후대신라에도 전달되어 감은사 삼층석탑, 석굴암 및 월정교 건설에도 사용되었음을 빼놓지 않고 들려준다. 필자는 동서고금의 역사를 종횡무진 넘나들며 신나게 이야기를 풀어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