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지역을 디자인하다

지방소멸에 대처하는 지역마케팅 교과서


  • ISBN-13
    978-89-5508-449-8 (9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학연문화사 / 학연문화사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11-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미야조에켄시
  • 번역
    엄상용
  • 메인주제어
    사회, 사회과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대학교재/전문서적 #사회과학계열 #행정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376 Page

책소개



전국 각지에서 지역활성화에 힘쓰는 인재들을 독자로 상정하고, 일회성 집객 이벤트나 화제성 만들기가 아닌 본질적인 지역 활성화 전략의 구축과 실천을 위해 다양한 참고 사례의 시사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지역활성화의 바람직한 방향과 추진방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목차

머리말 ─ 지방위기와 가능성5
인사말 ─ 지방소멸
시작하며 ─ 지역 활성화를 파악하는 방법
1. 지역활성화의 대처와 현황
2. 지역활성화를 파악하는 방법 및 기준

제1부 지역의 대처 사례: 마케팅적 관점에서
제1장 ─ 프로덕트: 지역상품의 브랜드화(좁은 의미에서의 지역브랜드)
1. 나카가와 마사사치 상점
2. BUNACO(아오모리, ?森)
3. 아모친미(히로시마)
제2장 ─ 제품(Product): 지역브랜드화(광의의 지역브랜드)
1. 타네야(시가滋賀)
2. 홋카이도北海道의 롯카테이六花亭
제3장 ─ 프로모션
1. SASEBO 토키다비(나가사키長崎)
2. 홋카이도 IKEUCHI 아웃피터스(홋카이도)
3. 시부야대학(도쿄)
제4장 ─ 채널(유통)
1. 하쿠자箔座 (이시카와石川)
2. 식칼 공방 타다후사タダフサ(니가타)
3. 지방 지자체의 도쿄 안테나숍
4. 소매업: 양판 채널 활용
제5장 ─ 지역 활성화 마케팅모델
1. 지역 자원을 지역 가치로(지역 가치창조)
2. 가치의 전달과 제공
3. 순환하는 마케팅 모델
4. 지역 활성화 마케팅 모델

제2부 지역활성화 매니지먼트
제6장 ─ 지역 활성화 매니지먼트 모델
1. 지역 활성화 비전
2. 대처활동과 진행과정
3. 평가지표
제7장 ─ 지역 활성화의 주역
《A: 지역 주체형의 대처》
1. 지방자치단체(행정)
2. 민간기업
3. NPO
《B: 지역 활성화를 지원하는 전국적인 활동》
4. 대형 백화점: 지역자원 발굴과 전통기술 계승 활동
5. 편집능력을 높이는 전국적 기업의 지역 활성화
6. 단체조직: 전국규모 관점에서의 편집과 소개
제8장 ─ 지역활성화 사업영역 및 주제
1. 예술
2. 스포츠
3. 먹거리와 농업

제3부 종합적인 전개 사례
제9장 ─ 나가노현 오부세마치
1. 오부세마치의 지역 활성화 대처 개요
2. 오부세마치의 지역 활성화 특징
3. 사례를 통한 시사점과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
제10장 ─ 구마모토
1. ‘구마몬’의 개요
2. 특징: 지역활성화 마케팅 모델로 인식하는 ‘구마몬’
3. ‘구마몬’에 의한 지역 활성화 효과
4. 사례를 통한 시사점과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
제11장 ─ 도쿠시마현 카미야마쵸
1. 카미야마쵸의 지역 활성화 추진 개요
2. 카미야마쵸 지역 활성화 특징
3. 카미야마쵸의 지역 활력과 활성화가 왜 일어났을까
4. 사례를 통한 시사점과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점
제12장 ─ 미국 포틀랜드시의 사례
1. 포틀랜드시의 지역 활성화 대처 개요
2. 포틀랜드의 지역 활성화의 특징
3. 사례로부터 시사, 참고 할 수 있는 것
결론 ─ 지역 활성화를 통한 마케팅의 진화
1. 지역 활성화를 보며 생각하는 것
2. 지역 활성화를 통한 마케팅의 진화
부속자료 ─ 지역 활성화에 참고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 및 방법론
가치 전달
지역 활성화 참여 촉진
활동 패턴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미야조에켄시
큐슈九州대학 법학부 졸업, 게이오기주쿠慶應義塾대학 대학원 경영관리 연구과 석사과정 수료(MBA 취득), 도쿄대학 대학원 경제학연구과 박사과정 수료(경제학 박사). 세이부西武 백화점, 프라이스 워터 하우스 쿠퍼스, 어빔 컨설팅 등을 거쳐, 2009년 4월부터 아오야마가쿠인?山?院대학 대학원 국제매니지먼트연구과 교수. 「지역활성화 마케팅」을 비롯해 마케팅 관련 과목을 담당. 도쿄대학 경제학부 비상근 강사(‘유통 경영’을 담당)를 겸직. 일본마케팅학회 리서치 프로젝트 「지역 활성화 마케팅」 연구회를 맡고 있다.
● 주요 저서·논문
「새로운 백화점 장밋빛 산업론」 비즈니스사, 1994년
「소매업 변혁, 전략 관계마케팅의 전개」 동양경제신보사, 1998년
「유통 ABC혁명」 동우관, 1998년
「솔루션 · 셀링」 동양경제신보사, 1999년
「핵심 · 텍스트 유통론」 신세사, 2010년
「전국백화점 매장전략 2011」 동우관, 2011년
번역 : 엄상용
국내 첫 이벤트정보웹사이트 이벤트넷(http://www.eventnet.co.kr) 대표(since 1998) 경기대학교 이벤트국제회의학과(관광학 박사), 한국방송문화산업협회장,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부회장,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제25대 중소기업중앙회 이사 역임, 한국이벤트산업협동조합 이사장 역임.
● 대전세계박람회, 2002 한 · 일 월드컵, 대한민국 과학축전, 평창동계 올림픽 도쿄 공연 등
● 축제, 박람회, 학술용역 컨설팅 등 다수(축제 평가, 백서 등)
● 일본 행사 코디네이션 및 지역활성화 관련 네즈워크 구축 등
페이스북 페이지: facebook.com/eventnet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eventnet00
다음 블로그: blog.daum.net/eventnet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