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서재필 평전

시민 정치로 근대를 열다


  • ISBN-13
    978-89-7940-347-3 (9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신서원 / (주)신서원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11-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황직
  • 번역
    -
  • 메인주제어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사회과학 #사회운동 #사회운동가/혁명가 #역사 #일제치하/항일시대 #테마로 보는 역사 #한국근현대사 #한국인물사 #혁명사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342 Page

책소개

한국근현대학술총서 3권. 갑신정변의 주역으로 군사 책임을 맡았던 서재필은 그 실패 후 조선을 떠나 미국으로 망명하여 시민 민주주의를 접하면서 새롭게 태어났다. 11년 만에 귀국해서 독립신문을 창간하여 백성의 눈과 귀를 열었고, 독립협회를 창설하여 근대적 개혁과 자주권 회복을 위한 시민운동의 기반을 마련했다.

목차

서문 시민 정치의 리더, 서재필
제1부 혁명가의 길
제1장 소년에서 사관으로
친외가親外家에서 보낸 유년 시절 양외숙 집에서 독립심을 키우다 ?? 운명으로서의 김옥균 촉망받던 문관, 사관생도가 되다 ?? 기다림의 나날
제2장 위로부터의 혁명에 나서다
개화당이 결성되기까지 ?? 갑신정변의 시말 처절한 실패, 쫓기는 혁명가
제3장 시민으로 거듭나다
조선에서 온 망명객들 ?? 소년들에게서 배운 민주주의 스콧 교장 댁에서 보낸 여름 ?? 최초의 한국계 미국 공무원 의대생으로 삶을 설계하다 ?? 최고 의사들 곁에 서다 결혼 그리고 아메리칸 드림의 실현

제2부 개혁가의 길
제4장 『독립신문』, 공론의 장을 열다
11년 만에 조선으로 ?? 갑신정변 주역의 마지막 귀환 고종과의 재회 ?? 유길준과 의기투합하다 신문 발행의 위기와 행운 ?? 한글 신문을 내다 백성에서 시민으로, 조선을 깨우다
제5장 토론하는 시민 - 협성회와 독립협회
시작은 독립문 건립부터 ?? 최초의 시민단체가 결성되다 배재학당에 씨를 뿌리다 ?? 협성회, 근대 토론을 시작하다 독립협회도 토론회를 열다 ?? 토론회의 발전과 시민의 탄생 사회개혁론의 근거로서 자유주의 경제관념
제6장 아래로부터의 개혁, 만민공동회
고종, 전제군주를 꿈꾸다 ?? 독립협회의 성격 변화 대한제국의 위기와 고종의 선택 러시아에 맞선 독립협회, 1차 만민공동회 ?? 의회 설립 투쟁 서재필 추방 공작과 결과 ?? 서재필 없는 독립협회 독립협회 해산과 그 이후 ?? 독립협회의 유산 아래로부터의 개혁

제3부 독립과 건국의 길
제7장 의사에서 사업가로
경력을 잃은 의사 ?? 필라델피아의 사업가 서재필 1905년의 교훈 ?? 이승만의 방문과 조국의 운명 1918년의 희망
제8장 미주 독립운동의 최전선에서
‘독립을 향한 행진’ ?? 공화국의 이름으로 미국인을 동지로 ?? 외교전의 전개 파산과 재기 ?? 운동세력의 단결 촉구 생계를 위해 의학계로 복귀 ?? 경제관의 변화와 성숙
제9장 다시, 자유의 종을 울리고
49년 만의 귀국 ?? 무엇이 문제인가 라디오 토크, 민주주의를 가르치다 산업 부흥 없는 독립은 불가능하다 이승만과의 갈등 ?? 단독선거와 남북협상 사이에서 대통령 추대를 거절하며 ?? 다시 자유의 종을 울리다

서재필 연보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황직
충북 보은 출생. 연세대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고전강독 모임 작은대학(1기)을 수료했다. 대학 재학 중 『세계의 문학』에 ‘푸른 별’ 외 4편의 시를 발표하며 등단했고, 『언어세계』에 평론 ‘5·18 시의 문학사적 위상’을 발표했다. 연세대 대학원 사회학과에 진학하여 “‘5월시’의 사회적 형성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근대 한국의 윤리적 개인주의 사상과 문학에 관한 연구: 정인보, 함석헌, 백석, 윤동주를 중심으로”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석사학위논문을 축약한 “5월시의 사회적 형성”이 『5월문학총서 4 - 평론』에 실렸다. 작은대학 총무교수, 독서대학 르네21 기획위원을 맡아 독서.교육운동에 힘썼고, 현재는 한국사회이론학회 총무이사.편집위원,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학술상(2017)을 수상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