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강현석
단국대학교 영어과 교수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저자 : 강윤희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언어인류학이며,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동남아시아와 한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주요 논문으로 “A Pathway to ‘Constant Becoming’: Time, Temporalities and the Construction of Self among South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8), ““커피 배우기”: 언어, 향미, 그리고 감식안의 습득 과정”(2015), “Singlish or Globish: Shifting Language Ideologies and Global Identities among Korean Educational Migrants in Singapore”(2012) 등이 있다. 최근작 : 현대 한국사회의 언어문화,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인류학자들, 동남아를 말하다 … 총 7종
저자 : 김규현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저자 : 김해연
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저자 : 박동근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조교수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지식의 쓸모를 찾아서 … 총 2종
저자 : 박용한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1991) 연세대학교에서 국어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해군사관학교 국어교수로 재직 중이다. 토론대화 전략연구(2003), 언어와 사회(역)(2009), 사회언어학사전(2012),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등을 집필하였다.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리더의 의사소통,토론 대화 전략 연구 … 총 4종
저자 : 박은하
대구대학교 한국어한국학과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광고 속의 성차별 … 총 2종
저자 : 백경숙
한양여자대학교 실무영어과 교수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저자 : 서경희
* 학력
UCLA 응용언어학 박사
UCLA TESL 석사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 석사
서울대학교 영어교육 학사
* 경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테솔대학원장
한국외국어대학교 ELLT/영어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실용영어주임교수 역임
저자 : 손희연
서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초등 국어 교육의 이해 … 총 2종
저자 : 양명희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논저
『현대국어 대용어에 대한 연구』(1998)
『한국어 듣기교육론』(2011, 공저)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저자 : 이정복
대구대학교 국문과 교수. 한국어 경어법, 인터넷 통신 언어, 차별 언어, 언어정책에 대해 주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나는 이렇게 불리는 것이 불편합니다,사회적 소통망(SNS)의 언어문화 연구 … 총 7종
저자 : 장선미
호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최근작 :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저자 : 조태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사회언어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언어정책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2008, 공저),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2015, 공저), 『언어순수주의의 발전과 전개』(2019, 공저),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2020,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언어 제국주의란 무엇인가』(2005, 공역),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방법들』(2021, 공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주제는 한국어의 사회적 변이 양상과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과 언어 사용 및 정책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최근작 : 언어, 접촉 그리고 소통,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 … 총 3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