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사마천 ≪사기≫ 명언명구 : 세가

세가


  • ISBN-13
    979-11-5852-294-0 (0315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글로벌콘텐츠출판그룹 / (주)글로벌콘텐츠출판그룹
  • 정가
    14,8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9-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해원
  • 번역
    -
  • 메인주제어
    언어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대학교재/전문서적 #동양철학 #인문계열 #인문학 #중국철학 #철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336 Page

책소개



세습 왕후의 제후국과 한대제후, 공신 귀족의 흥망과 사적 그리고 특별한 인물의 행적을 기술하였다. 사기는 본기, 표, 서, 세가, 열전 다섯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그 가운데 본기, 세가, 열전 세 부분에 정치의 중심인물들이 속해있다. 세가는 사마천 사기 명언명구의 두 번째 책이다.

사마천 사기 명언명구(세가)는 본기와 마찬가지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에 주요한 말들이 사자성어의 뜻을 이루고 있다. 가계도와 그림이 들어있어 비록 낯선 땅의 역사이지만 이야기는 이해하기 쉬워진다. 사마천 사기 명언명구를 보면 한자를 풀이했다고 그 성어를 이해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목차

머리말
탄위관지(嘆爲觀止)
급과이대(及瓜而代)
토포악발(吐哺握髮)
감당유애(甘棠遺愛)
상저옥배(象箸玉杯)
육단면박(肉袒面縛)
가도멸괵(假道滅?)
순망치한(脣亡齒寒)
치아위화(齒牙爲禍)
폐후감언(幣厚甘言)
봉목시성(蜂目豺聲)
일명경인(一鳴驚人)
필로남루(?露藍蔞)
사족(蛇足)
일계삼리(一計三利)
좌영우불(左?右拂)
상담(嘗膽)
토사구팽(兎死狗烹)
천금지자(千金之子) 불사어시(不死於市)
이권이합자(以權利合者) 권리진이교소(權利盡而交疏)
조씨고아(趙氏孤兒)
일호지액(一狐之腋)
난지절견(難至節見) 누지행명(累至行明)
가화우인(嫁禍于人)
빈천교인(貧賤驕人)
가빈즉사양처(家貧思良妻) 국난즉사양상(國亂思良相)
백전전승(百戰百勝)
포신구화(抱薪救火)
시출거영(時?擧?)
계맹지간(季孟之間)
상가지구(喪家之狗)







일이관지(一以貫之)
위편삼절(韋編三絶)
불능찬일사(不能贊一辭)
연작안지홍고지지(燕雀安知鴻鵠之志)
구화호명(?火狐鳴)
왕후장상녕유종호(王侯將相寧有種乎)
화섭위왕(?涉爲王)
게간이기(揭竿而起)
사화위룡(蛇化爲龍) 불변기문(不變其文)
윤형피면(尹邢避面)
욕불필강해(浴不必江海) 요지거구(要之去垢)
마불필기기(馬不必騏驥) 요지선주(要之善走)
당단불단(當斷不斷)
편의시행(便宜施行)
한마공로(汗馬功勞)
발종지시(發縱指示)
백세후(百歲後)
언인인수(言人人殊)
소규조수(蕭規曹隨)
유자가교(孺子可敎)
조걸위학(助桀爲虐)
입추지지(立錐之地)
차저대주(借箸代籌)
도치간과(倒置干戈)
사양장낭(使羊將狼)
우익이성(羽翼已成)
일거천리(一擧千里)
백구과극(白駒過隙)
미여관옥(美如冠玉)
골경지신(骨?之臣)
선시선종(善始善終)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해원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중문과를 졸업하고, 대만 국립정치대학 중문연구소 석사, 호주 시드니대학교 동아시아 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고려대학교 인문대학 중문과 교수로 있다가 현재는 글로벌비지니스대학 글로벌학부 중국학 전공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