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 ISBN-13
    978-89-6381-203-8 (93540)
  • 출판사 / 임프린트
    심미안 / 심미안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7-10-26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천득염 , 허지혜
  • 번역
    -
  • 메인주제어
    건축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건축 #건축이론/비평/역사 #국내도서 #문화/문화이론 #불교 #불교예술/사찰 #예술/대중문화 #인문학 #종교/역학 #종교문화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264 Page

책소개

불탑의 아시아 지역 전이양상 시리즈 2권.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불교문화유적을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인도의 불탑이 아시아에서 어떻게 전이되었는가를 연구해 온 저자가 4년 전에 펴낸 인도 불탑의 의미와 형식에 이은 두 번째 책이다.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역사, 불교전래와 남방 상좌부 불교, 이민족의 침입과 민족적 갈등,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 전통문화유산, 불탑의 형식, 그리고 스리랑카의 주요 도시까지 연구서이지만 딱딱하지 않고 재미있으며 깊이까지 갖추었다.

목차

제1장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역사

스리랑카의 간략한 소개?14
스리랑카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배경?20
스리랑카의 역사적 기원과 민족?27
스리랑카 불교미술의 시대 구분?35

제2장 스리랑카의 불교전래와 남방南方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

생존 시 붓다의 스리랑카 방문과 그 흔적?38
불교경전의 정리와 결집?40
인도불교의 스리랑카 전래?42
'3차결집'과 남방南方 상좌부上座部 불교佛敎?45

제3장 이민족의 스리랑카 침입과 민족적 갈등

아누라다푸라왕국의 설립과 타밀족의 침입?50
싱할라왕조의 두 번째 수도 폴로나루와?54
종족간의 대립과 불교의 쇠퇴?56
서구 열강들의 침탈과 전통문화의 파괴?57
캔디왕국의 설립과 서양인의 지배?60
1948년 해방과 민족적 갈등?64
싱할라족과 LTTE(타밀족 무장 단체)의 내전?66
인도의 개입과 실패, 2009년 전쟁의 종료?69

제4장 스리랑카의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

스리랑카의 풍습과 축제?74
세계인들의 차, 실론 티(Ceylon Tea)?85
스리랑카의 다양한 문화와 볼거리?91

제5장 스리랑카의 전통문화유산

스리랑카의 세계문화유산?100
상좌부불교의 스리랑카와 최초의 수도 아누라다푸라 신성도시
(Sacred City of Anuradhapura)?104
스리랑카 최초 불교성지, 미힌탈레(Mihintale)?133
두 번째 수도 폴로나루와 고대도시
(Ancient Kingdom of Polonnaruwa)?148
요새궁전 시기리야(Lion Rock Citadel, Sigiriya) ?178
담블라 황금석굴사원
(Golden Dambulla Rock Temple)?183
중세 왕도 캔디(Kandy)와 불치사佛齒寺
(Sri Dalada Maligawa)?198
패엽경이 만들어진 아루비하라 석굴사원
(MATALE & Aluvihara Cave Temple)?204
대승불교의 흔적 웰라와야와 부두루바가라
(Wellawaya & Buduruvagala)?206
부처의 세 번째 방문지 켈라니야의
라자 마하 비하라(Raja Maha Vihara)사원?207

제6장 스리랑카 불탑의 형식

스리랑카 불탑의 출현과 초기형식?212
스리랑카 돔 형식 불탑의 구성요소?216
불탑 주변의 시설?221
스리랑카 불탑의 유형?225

제7장 스리랑카의 주요 도시

콜롬보(Colombo)?234
캘라니야(Kelaniya)?241
네곰보(Negombo)?242
마운트 라비니아(Dehiwala Mount Lavinia)?243
해양 스포츠 도시 하카두와(Hikkaduwa)?244
네덜란드가 세운 항구도시 갈레(Galle Dutch Fort)?246
마타라(Matara)?249
탕갈라(Tangalla)?250
소금 생산지 함반토타(Hambantota)와
팃사마하라마(Tissamaharama)불탑?252
스리랑카 종교들의 성지 카타라가마(Kataragama)?254
북부 자프나(Jaffna)지역?255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천득염
전남대 건축학부 석좌교수이다. ‘백제계석탑의 조형특성과 변천에 관한 연구’로 고려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주로 불탑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특히 ‘인도불탑의 아시아지역 전래양상’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하버드대학 미술학과와 교토대학 건축학과에서 Visiting Scholar로 ‘시원불탑의 의미론적 고찰’, ‘불탑의 동아시아지역 전래’라는 주제의 연구를 하였다. 대표적인 저술로는 『은일과 사유의 공간 소쇄원』, 『운주사』, 『전탑』, 『백제계석탑연구』, 『한국의 건축문화재』, 『광주건축 100년』, 『전남의 석탑』, 『인도불탑의 형식과 전래양상』,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등이 있다. 그간 1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문화재위원과 한국건축역사학회장, 국제온돌학회장을 역임하였다. 최근작 : 근현대 광주 사람들,미얀마의 역사문화와 불탑,소쇄원 … 총 18종
저자 : 허지혜
최근작 : 동양의 진주, 스리랑카의 역사와 문화
기타 창작자 : 오희옥
김소영 (사진)
기타 창작자 : 김소영
없음

출판사소개

문학의 다양성과 연대,
들판의 너른 지평을
지향하는 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