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입문

개정판


  • ISBN-13
    978-89-6365-229-0 (03180)
  • 출판사 / 임프린트
    종합출판 범우㈜ / 종합출판 범우㈜
  • 정가
    2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7-09-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지크문트프로이트
  • 번역
    서석연
  • 메인주제어
    심리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심리학/정신분석학 #인문학 #정신분석학 #프로이트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488 Page

책소개

정신분석학의 전 체계와 그 진수를 알기 쉽게 상세히 설명한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대표적인 저작. 이미 60여 년 전, 미국의 저명한 도서관학 교수이자 미 서적협회 회장인 법학박사 로버트 다운스가 선정한 〈세계를 개혁한 16권의 저서〉 중에서도 첫손에 꼽히는 저명한 고전이다. 인간 이성의 만능을 부정하고 성(性)의 마력을 주장하는 트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다윈의 〈진화론〉,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과 더불어 근대의 인간관에 큰 변혁을 가져왔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분에게 11
머리말 13

제1부 실수 행위 15
제1강 서문 17
제2강 실수 행위 28
제3강 실수 행위(전개) 42
제4강 실수 행위(결론) 62

제2부 꿈 85
제5강 여러 가지 난점과 최초의 접근 87
제6강 꿈의 해석의 여러 가지 전제와 기법 104
제7강 꿈의 현재 내용과 꿈의 잠재 사상 118
제8강 어린이의 꿈 131
제9강 꿈의 검열 142
제10강 꿈의 상징적 표현 155
제11강 꿈의 작업 176
제12강 꿈의 분석례 190
제13강 꿈의 태고적 특질과 유치성 205
제14강 원망 충족 220
제15강 불확실한 점과 비판 235

제3부 노이로제 총론 249
제16강 정신분석과 정신의학 251
제17강 증상의 의미 265
제18강 외상에의 고착 . 무의미 282
제19강 저항과 억압 296
제20강 인간의 성생활 312
제21강 리비도의 발달과 성애의 조직 329
제22강 발달 및 퇴행이라는 관점 . 병인론 349
제23강 증상형성의 경로 367
제24강 일반적인 신경질 385
제25강 불 안 400
제26강 리비도론과 나르시시즘 419
제27강 감정전이 437
제28강 정신분석의 요법 455

해설 - 프로이트의 생애와 사상 471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지크문트프로이트
마르크스, 니체와 함께 현대 3대 혁명 사상가다. 프로이트는 의식 일변도의 심리학을 해체하고 종래에는 은폐되었던 무의식의 세계를 들추어냄으로써 의식과 무의식의 균형을 추구하고 건강한 정신 상태를 되찾으려고 노력했다.
1856년 5월 6일 모라비아의 프라이베르크에서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김나지움과 빈 대학 의학부에서 학업성적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출중한 학생이었다. 대학에서 브뤼케 교수의 지도를 받으면서 해부학과 생리학에 심취했다.
1885년 파리 살페트리에르 병원장 샤르코 밑에서 장학생으로 약 5개월간 연구하면서 히스테리와 최면술에 특히 관심을 가졌는데, 이것은 장차 정신분석학을 창안하는 데 매우 중요한 동기가 된다. 1886년 프로이트는 마르타 베르나이스와 결혼했으며, 개인 병원을 개원하고 신경증 환자들을 치료하기 시작했다. 프로이트는 치료와 동시에 정신 신경증에 관한 많은 자료들을 수집하고 논문을 발표했다. 그는 ≪꿈의 해석≫과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 등 두 권의 방대한 저서를 출판하면서 심리학을 넘어서 메타심리학으로서의 정신분석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독자적으로 창안하게 되었다.
번역 : 서석연
전남 여천 출생.
일본 오사카 외국어대학(독일어 학부), 동국대 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전남대, 성균관대, 동국대 교수 역임.
부산산업대학교 명예교수 역임.
저서로는 《괴테 어록 시집》 《히틀러 어록》 등이 있으며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