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총 균 쇠 (양장)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 ISBN-13
    978-89-7012-885-6 (039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문학사상 / (주)문학사상
  • 정가
    3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3-03-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재레드다이아몬드
  • 번역
    김진준
  • 메인주제어
    사회, 문화: 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문명/문명사 #문화/문화이론 #인문학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30 mm, 760 Page

책소개

왜 어떤 민족들은 다른 민족들의 정복과 지배의 대상으로 전락하고 말았는가? 왜 원주민들은 유라시아인들에 의해 도태되고 말았는가? 왜 각 대륙들마다 문명의 발달 속도에 차이가 생겨났는가? 인간 사회의 다양한 문명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1998년 퓰리처 상을 수상한 총, 균, 쇠는 이런 의문을 명쾌하게 분석한 명저이다.

진화생물학자인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각 대륙의 문명이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 이유가 인종적.민족적 차이 때문이 아니라 환경적 요소들 때문이라는 것을 생태지리학, 생태학, 유전학, 병리학, 문화인류학, 언어학 등을 동원해 설득력 있게 밝힘으로써 인종주의적 이론의 기반을 무너뜨린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특별 증보면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를 추가 수록했다. 여기서 재레드 다이아몬드는 현대 일본인의 조상이 누구였는지를 추적하면서, 한국인의 이주가 분명 현대 일본인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목차

친애하는 한국 독자에게 드리는 편지 - 제레드 다이아몬드
프롤로그 / 현대 세계와 불평등에 대한 의문을 푼다

-1부- 인간 사회의 다양한 운명의 갈림길
1장 문명이 싹트기 직전의 세계 상황
2장 환경 차이가 다양화를 빚어낸 모델 폴리네시아
3장 유럽이 세계를 정복한 힘의 원천

-2부- 식량 생산의 기원과 문명의 교차로
4장 식량 생산의 기원
5장 인류 역사가 갈라놓은 유산자와 무산자
6장 식량 생산민과 수렵 채집민의 경쟁력 차이
7장 야생 먹거리의 작물화
8장 작물화하는 데 적합한 식물의 식별과 성패의 원인
9장 선택된 가축화와 ‘안나 카레니나의 법칙’
10장 대륙의 축으로 돈 역사의 수레바퀴

-3부- 지배하는 문명, 지배받는 문명
11장 가축의 치명적 대가, 세균이 준 사악한 선물
12장 식량 생산 창시와 문자 고안과의 관계
13장 발명은 필요의 어머니
14장 평등주의부터 도둑 정치까지

-4부- 인류사의 발전적 연구 과제와 방향
15장 대륙 간 불균형 이론과 원주민들이 낙후된 원인
16장 동아시아의 운명과 중국 문화의 확산
17장 동아시아와 태평양 민족의 충돌
18장 남북아메리카가 유라시아보다 낙후됐던 원인
19장 아프리카는 왜 흑인 천지가 됐는가

에필로그 / 과학으로서의 인류사의 미래

-특별 증보면-
추가 논문 / 일본인은 어디에서 왔는가
2003 후기 / 《총, 균, 쇠》 그 후의 이야기

추천의 말 - 이현복 서울대 언어학과 명예교수
옮긴이의 말 - 김진준(번역문학가)

참고 문헌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재레드다이아몬드
1937년 미국 출생.
문화인류학자. UCLA 지리학과 교수다. 분야를 넘나드는 방대한 지식과 탁월한 글쓰기 능력을 바탕으로 인류 문명의 어제와 오늘에 대한 통찰을 선사하고 있다. 《총, 균, 쇠》, 《문명의 붕괴》, 《어제까지의 세계》, 《대변동》 등의 저작으로 한국의 독자와 꾸준히 만나고 있다.
번역 : 김진준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및 영문과를 거쳐 마이애미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전공했다. 살만 루슈디의 『분노』 번역으로 제2회 유영번역상을 수상했다. 옮긴 책으로 『조지프 앤턴』 『악마의 시』 『한밤의 아이들』 『롤리타』 『빅 슬립』 『기나긴 이별』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