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불탄 숭례문은 어디에 있을까?

소중한 우리 건축 문화재와 수리 이야기


  • ISBN-13
    979-11-89366-11-7 (7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단디 / 주니어단디
  • 정가
    1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7-22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한라경
  • 번역
    -
  • 메인주제어
    어린이, 청소년, 학습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숭례문 #건축 #문화재 #어린이, 청소년, 학습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유아/어린이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154 Page

책소개

숭례문에 큰불이 나서, 무너지고 말았어요.
숭례문은 그 자리에 다시 세워졌지요.
그렇다면 불이 났던 숭례문은 어디로 갔을까요?

600년의 역사를 간직한 숭례문은 2008년에 불에 타버렸어요. 

전 국민이 안타까워했던 사건이었어요. 전문가들은 다시 숭례문을 짓기 위해 연구했고, 2013년에 숭례문은 그 자리에 다시 세워졌어요. 

그런데 불에 탄 숭례문은 어디로 갔을까요? 불탄 나무 부재들은 다 버려졌을까요?
이 책은 불에 타거나 수리가 필요한 문화재들은 어떻게 되는지, 문화재를 수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 주기 위해 만들었어요. 

우리가 보고 있는 문화재는 대부분 계속 수리하며 고쳐온 것이에요. 

건축문화재에 쓰인 나무와 돌, 기와 그리고 단청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살펴보고, 어떻게 수리하고 보존하는지도 살펴보아요.

 

목차

추천사
〈소문 신문〉의 탄생

1.뚝딱뚝딱 숭례문 고치기!
600년 역사를 간직한 숭례문
숭례문에 왜 불이 났을까?
숭례문을 여러 번 고쳤다고?
숭례문의 모습은 어떻게 바뀌어 왔을까?
숭례문의 화기를 막기 위한 선조들의 노력
지금의 숭례문은 어떻게 다시 지어졌을까?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1: 잡상의 수수께끼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2: 진짜 지붕을 찾아라!
불에 탄 숭례문의 부재를 보관하는 수장고
〈소문신문편집후기〉
〈더!조사해보자〉 일제 강점기에 훼손된 건축 문화재들
〈소문신문, 알려줘〉

2 나무로 만든 문화재를 지켜라!
전통 건축에서 꼭 필요한 나무!
어떤 나무를 썼을까?
전통 건축의 뼈대, 나무!
불에 약한 목조 문화재
낙서로 훼손되는 문화재들
목조 문화재를 오랫동안 지켜온 방법
수리하기전에 꼭 해야 하는 것!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3: 제 나무를 써 주세요!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4: 숭례문을 레고처럼 조립했다고?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5: 조각난 숭례문 현판을 되살려라!
〈소문신문편집후기〉
〈더!조사해보자〉 전통 건축 장인들
〈소문신문, 알려줘〉

3 돌로 만든 문화재를 지켜라!
단단한 돌은 어떻게 쓰였을까?
문화재마다 다른 돌을 썼다고?
돌을 쌓는 방법도 여러 가지!
기둥을 받쳐주는 주춧돌
돌로 만든 문화재는 항상 튼튼할까?
첨단 기술로 문화재의 문제를 찾아내다!
수리하고 다시 쌓기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6: 숭례문 성곽 세우기
〈소문신문편집후기〉
〈더!조사해보자〉 돌을 깎고 다듬는 도구는 어떻게 만들었을까?
〈소문신문, 알려줘〉

4 전통 기와를 지켜라!
지붕의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 집의 이름
기와에 여자랑 남자가 있다고?
아름다운 막새
기와지붕의 구조를 알아보자
건축물의 쓰임에 따라 기와지붕 모양도 달라!
잡상을 가까이에서 보면 어떤 모습일까?
자주 수리가 필요한 기와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7: 2만장이 넘는 기와를 만들다!
〈소문신문편집후기〉
〈더!조사해보자〉 문화유산헌장이 뭐야?
〈소문신문, 알려줘〉

5 단청을 지켜라!
언제부터 건축물에 그림을 그렸을까?
단청의 색깔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색깔에도 의미가 있다!
건축물에 따라 달라지는 단청 무늬
단청을 보존하는 방법은 덧칠하기?
전통 안료를 되살려야 한다
똑같은 모양의 단청, 어떻게 그릴까?
숭례문 수리에 숨겨진 뒷이야기8: 여섯번 덧칠한 숭례문의 단청
〈소문신문편집후기〉
〈더!조사해보자〉 전통 안료와 화학 안료는 어떻게 다를까?
〈소문신문, 알려줘〉

수장고!우리도 가 보고 싶어요
수장고는 이렇게 생겼어요
참고문헌 사진출처

본문인용

소문 신문! 소중한 우리 문화재를 지켜요!

하연, 현승, 민우 세 친구는 ‘소중한 우리 신문을 지키자!’라는 의미로 소문 신문을 만들어요. 문화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알아보기 위해 현승이는 인터넷에서 문화재에 관한 자료를 찾고, 

민우는 직접 문화재를 찾아가 사진을 찍고 취재를 하지요. 

하연이는 전통건축수리진흥재단을 방문해 선생님을 인터뷰해요. 

세 친구는 어떤 신문을 만들었을까요? 문화재의 역사와 수리, 숨겨진 뒷이야기까지! 친구들이 만든 신문을 보며, 재밌게 문화재에 대해 알아보아요.

 

나무와 돌, 기와와 단청으로 만들어진 건축 문화재

건축 문화재는 뼈대가 되는 나무 부분, 주춧돌이나 성곽으로 이루어진 돌 부분, 기와와 각종 색이 입혀진 단청. 이렇게 나눌 수 있어요. 

늘 하나의 모습으로만 보던 문화재를 재료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재료마다 어떤 쓰임이 있는지 알 수 있어요. 또 각 재료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조상들의 감각을 엿볼 수 있지요.

《불탄 숭례문은 어디에 있을까?》에서는 각 문화재를 어떻게 만들었고, 어떻게 수리하는지도 알려줍니다. 나무와 돌을 다듬고, 기와를 만들고, 

건물에 색을 입히는 장인들, 건축문화재를 옛 모습과 똑같이 만들기 위해 연구하는 전문가들이 어떤 노력을 하는지도 알 수 있지요. 

 

불탄 숭례문은 어디로 갔을까?

숭례문을 가리켜 ‘시대의 중첩’이란 말을 합니다. 어떤 곳은 세종 때, 어떤 곳은 성종 때 다듬은 나무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현대에 고쳐진 곳들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수리를 하기 위해 빼낸 부재들은 어디에 있을까요? 

건축 문화재의 작은 부재들은 하나하나가 다 역사 자료이기 때문에 연구를 위해 따로 보관합니다. 이 부재들로 언제 문화재가 수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실록의 기록과 비교할 수도 있습니다. 

숭례문 화재 때 불탄 숭례문 적심에서는 숭례문의 옛 추녀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추녀를 통해 초창기 숭례문의 모습을 알아낼 수 있었지요. 불에 타고, 

오래된 재료도 소중하게 보관해야 한다는 걸 알게 된다면 우리 문화재를 더 깊이 있고, 소중하게 여길 수 있을 거예요.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한라경
만드는 사람의 손길에 따라 모양도 색도 달라지는 빵이 늘 신기하다.
제빵사가 지문을 찍으며 정성스레 만든 빵처럼 누군가에게 꼭 필요한 책을 빚어내는 작가가 되고 싶다.
지금껏 쓴 책으로는 《오늘 상회》 《아빠가 아플 때》 《엄마는 겨울에 뭐 하고 놀았어?》 《시베리아 호랑이의 집은 어디일까?》 《내 의자》 《엄마의 김치 수첩》 등이 있다.
그림작가(삽화) : 김보경
대학에서 역사를 전공하고 청소년 잡지 기자로 활동하던 중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에 매력을 느껴 홀로 그림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현재 다양한 책의 일러스트레이션과 만화를 작업하고 있습니다.
《페르마 수리수리 규칙을 찾아라》 《하루 한 장 한국사》 등의 책과 초중등 교과서의 삽화를 그렸습니다.
감수 :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은 선조들의 깊은 지혜가 담긴 전통건축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일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2017년 2월, 파주에 설립된 문화재청 산하기관입니다.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은 전통건축 부재들을 보존하고 연구하여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소중한 문화재들을 돌보고 수리하는 기술의 진흥을 위한 여러 가지 일들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생하고 진정성 있는 전통건축의 장을 마련하여, 모든 국민이 문화유산을 즐겁게 향유하며 소중함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