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

한살림선언 다시읽기


  • ISBN-13
    978-89-964602-0-6 (0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한살림 / 도서출판한살림
  • 정가
    1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0-07-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모심과살림연구소
  • 번역
    -
  • 메인주제어
    사회, 사회과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사회, 사회과학 #한살림선언 #한살림운동 #생명살림 #생명평화 #문명전환 #모삼과살림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0 * 200 mm, 184 Page

책소개

1989년 발표 후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현재까지도 유효한 ‘한살림선언’의 문명사적 통찰과 철학을 다시 새롭게 우리 모두의 것으로 살려내려는 시도가 담긴 책. 1부에는 ‘한살림선언’ 전문을, 2부에는 2008년 모심과살림연구소가 진행한 ‘한살림선언 다시읽기’ 토론회에서 논의한 내용을 실었다.
우리나라 생명운동을 이끌어왔던 <한살림선언>을 재해석하고 이를 기초로 현 시점에 맞는 사회운동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부제: 한살림선언·한살림선언 다시읽기, 도서출판한살림)가 발간됐다.

목차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를 펴내며

1부 - 한살림선언, 생명의 지평을 바라보면서
-산업문명의 위기
-기계론적 모형의 이데올로기
-전일적 생명의 창조적 진화
-인간 안에 모셔진 우주생명
-한살림

2부 - 한살림선언 다시읽기
한살림세상을 희망하다
-또 하나의 역사
-한살림선언의 탄생
-시대 상황
-한살림선언의 사상적 배경
-선언의 구성과 내용
-한살림세상
다시 한살림의 길을 묻다
-다시 새롭게
-전환의 시대
-한살림운동
-살림의 그물
-한살림, 생명평화의 길

본문인용

-

서평

<한살림선언>은 1989년 10월 29일 ‘한살림모임’ 창립총회에서 발표되었다. 한살림모임은 유기농산물의 직거래를 매개로 생활공동체운동을 펼치던 한살림소비자협동조합(현재의 한살림)과 함께 또 다른 축으로 생명문화운동을 펼치기 위해 발족했다.
당시 한살림모임에는 무위당 장일순, 시인 김지하, 최혜성, 박재일 등 주로 원주지역에서 활동하던 사회운동가들을 중심으로 60여 명이 참여했으며 김민기(가수, 현 극단 학전 대표)가 사무국장을 맡았다. 이들은 1년여에 걸쳐 공동체운동과 세계의 협동운동, 환경위기와 생태주의, 동학을 비롯한 전통사상 등 다양한 분야에 걸친 공부모임을 진행하며 세계사의 흐름을 검토하고 토론을 통해 정리된 내용을 최혜성이 대표 집필해 <한살림선언>을 세상에 내놓았다.

저자소개

저자 : 모심과살림연구소
생명의 유기적 세계관과 협동적 생활양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삶과 사회, 문명을 만들어가기 위한 지혜를 탐구하고 실천해나가고자 2002년에 설립되었다. 생명사상과 협동운동에 대한 연구・조사와 세미나 및 포럼, 관련 단체와의 교류 및 네트워크를 위한 활동을 펼쳐가고 있으며, 반년간 간행물 '모심과살림'과 누리집(mosim.or.kr)을 통해 생명・협동운동 관련 글과 자료를 공유하고 있다.
도서출판한살림은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소비자생활협동조합인 한살림에서 더 많은 사람들과 호흡하면서 출판문화운동을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며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세상을 모색하기 위해 2008년에 설립한 출판사입니다.
공동체운동, 협동조합, 사회적경제, 생명살림, 기후변화대응, 탈핵, NON-GMO, 생태주의, 돌봄, 친환경농업, 식생활교육 등의 주제를 담은 책들을 출판하고 있습니다.
대표 도서로는 《죽임의 문명에서 살림의 문명으로》(2010), 《자본주의를 넘어》(2014), 《우리가 이 세상에 온 이유》(2014), 《삶을 일깨우는 시골살이》(2016), 《내가 시작한 미래》(2017), 《탄소자본주의》(2018), 《세상의 밥이 되는 공동체운동》(2019), 《우리의 욕망을 공유합니다》(2020), 《가난의 서재》(2020), 《협동의 대화》(2021), 《또 하나의 협동조합운동》(2022) 등이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