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불교성전


  • ISBN-13
    979-11-5580-157-4 (03220)
  • 출판사 / 임프린트
    조계종출판사 / 조계종출판사
  • 정가
    2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2-24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
  • 메인주제어
    불교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불교 경전/법문 #불교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704 Page

책소개

지난 2019년 4월 시작된 《불교성전》 편찬 작업은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성전편찬추진위원회를 출범하면서 시작되었다. 종정예하를 증명으로 모시고 대덕스님과 각계의 전문가 삼십 분을 상임위원·기획위원·전문위원으로 초빙하여 약 2년간, 크고 작은 회의를 열어 공의를 모았다. 새롭게 대장경을 만든다는 각오로 시작된 이 대작불사는 많은 이들의 순수한 열정과 의지 덕분에 완성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2021년 2월, 삼보님과 사부대중 앞에 《불교성전》을 봉정한다.

팔만대장경이라 칭할 만큼 무수한 불경 중에서 《불교성전》은 그 핵심을 뽑아 모은 책이다. 대장경을 일람하여 법문을 발췌하고, 이를 다시 검토하여 공통분모를 선별했다. 초기경전, 대승경전, 선어록 등을 망라하여 특정 주제 안에서 여러 불교 전통의 교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불교성전》은 총 4장으로 이루어진다. 제1장 ‘거룩한 부처님’에서는 부처님의 생애와 관련하여 여러 경전에서 발췌한 내용을 서사식으로 구성했다. 선혜라는 이름의 청년 구도자가 인류의 스승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이 되기까지의 긴 여정을 따라가 본다. 선혜보살은 구도자로서 수없이 윤회하며 보살로 태어나는 세상에서마다 부지런히 수행하였고, 연등 부처님을 만나 “백겁 후에 부처님이 되리니 명호는 석가모니라 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지닌다.

목차

법어
간행사
편찬사
^^
제1장 _ 거룩한 부처님^^
1절 끝없는 보살행
2절 부처님 이 땅에 오시다
3절 세상의 괴로움을 보다
4절 스스로 깨어나다
5절 법의 바퀴를 굴리다
6절 위대한 열반
7절 미래에 오실 미륵 부처님
^^
제2장 _ 위대한 가르침^^
1절 만족스럽지 못한 현실
2절 삶이 힘든 이유
3절 행복에 이르는 길
4절 맑고 깨끗한 대자유
^^
제3장 _ 보살의 길^^
1절 믿음은 공덕의 씨앗
2절 아낌없이 베푸는 삶
3절 나를 바로 세우기
4절 인내하고 용서하는 힘
5절 끊임없는 노력
6절 마음 밝히는 길
7절 세상을 밝히는 지혜
8절 보살의 발원
^^
제4장 _ 불국토 구현^^
1절 가장 소중한 생명
2절 불자의 삶
3절 지금 여기, 부처님 나라

부록
부처님 당시 인도 지도
불교사 연표
색인

본문인용

-

서평

단 한 권에 집약된 불교의 정수, 불교성전
불기 2565(2021)년 2월,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성전편찬추진위원회에서는 부처님과 선지식들의 주옥같은 말씀을 추려 《불교성전》을 출간한다.
지난 2019년 4월 시작된 《불교성전》 편찬 작업은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성전편찬추진위원회를 출범하면서 시작되었다. 종정예하를 증명으로 모시고 대덕스님과 각계의 전문가 삼십 분을 상임위원·기획위원·전문위원으로 초빙하여 약 2년간, 크고 작은 회의를 열어 공의를 모았다. 새롭게 대장경을 만든다는 각오로 시작된 이 대작불사는 많은 이들의 순수한 열정과 의지 덕분에 완성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2021년 2월, 삼보님과 사부대중 앞에 《불교성전》을 봉정한다.

주제별로 한눈에 보는 불교 교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불교성전

팔만대장경이라 칭할 만큼 무수한 불경 중에서 《불교성전》은 그 핵심을 뽑아 모은 책이다. 대장경을 일람하여 법문을 발췌하고, 이를 다시 검토하여 공통분모를 선별했다. 초기경전, 대승경전, 선어록 등을 망라하여 특정 주제 안에서 여러 불교 전통의 교리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불교성전》은 총 4장으로 이루어진다. 제1장 ‘거룩한 부처님’에서는 부처님의 생애와 관련하여 여러 경전에서 발췌한 내용을 서사식으로 구성했다. 선혜라는 이름의 청년 구도자가 인류의 스승이신 석가모니 부처님이 되기까지의 긴 여정을 따라가 본다. 선혜보살은 구도자로서 수없이 윤회하며 보살로 태어나는 세상에서마다 부지런히 수행하였고, 연등 부처님을 만나 “백겁 후에 부처님이 되리니 명호는 석가모니라 하리라”는 수기를 받아 지닌다.

세세생생 보살은 자신의 한 생 한 생을 다른 이를 위해 아낌없이 보시하고, 계를 목숨보다 더 소중하게 지키고, 어떤 일을 당하여도 잘 참아내며, 정진을 쉬지 않고, 참선하는 일을 가장 중요한 일과로 여기고, 지혜를 구하였다. 한 사람이 부처가 되겠노라 원을 세우고 보살행을 쌓아가면 수많은 중생이 도움을 받고 마음의 의지처를 얻는다. 자기의 깨달음을 위하는 일이 곧 모든 생명을 돕고 살리는 일임을 알아서 부처가 되기까지 그 일을 멈추지 않는 보살은 이제 마지막 생을 앞두고 마침내 이 모든 선업과 보살행의 과보로 천상에 태어났다.(57쪽)

성을 뛰어넘어 출가한 싯다르타 태자,
석가모니 부처님이 되어 법향을 펼치고 열반에 이르기까지

카필라국 정반왕 가문에 마야왕비의 아들로 태어난 싯다르타는 생로병사의 괴로움을 절감하고 29세 때 출가하여 사문 고타마로서 세상에 유익한 것(善)을 구하고 위없는 평화로운 경지를 찾으러 길을 나선다. 온갖 고행 끝에 그는 가야 지방의 니련선하 강변 보리수 나무 아래를 깨달음을 이룰 자리(보리좌)로 정하고, 선정에 들어 바르고 원만한 깨달음을 이룬다.
35세에 부처님이 된 이래, 부처님은 바라나시에 있는 녹야원으로 떠난 다섯 수행자에게 가장 먼저 가르침을 베푼다. 그들은 최초의 비구가 되고, 이후 최고의 성자인 아라한이 됨으로써 부처님이라는 불보, 가르침이라는 법보, 수행자의 모임인 승가라는 승보의 삼보(三寶)가 이루어진다.
훌륭한 가문의 아들 야사도 부처님을 만나 출가하고, 야사의 부모는 최초의 재가 남녀 신도가 되며, 그의 친구들 50여 명까지 교화를 받는다. 부처님은 비구들이 제자를 받아 구족계를 줄 수 있도록 허락하시고, 전도 선언을 한 뒤 우루벨라로 가서 마가다국의 가섭 삼형제와 그 무리 천 명을 제자로 받아들이고 함께 마가다국의 왕사성으로 향한다. 그곳에서 빔비사라 왕이 대나무 숲을 승가에 기증한 것이 바로 최초의 사원 죽림정사이다.
부처님은 언제나 사람들을 만나서 그들에게 복을 짓고 지혜를 키우며, 공덕을 쌓는 길을 들려주었다.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곳이면 어디든 달려갔고, 그 어떤 상황에 놓인 사람들이라도 부처님의 손을 잡고 다시 일어섰다.

“성불하신 이후 80세에 쿠시나가라에서 완전한 열반에 드시기까지 오직 당신이 깨달은 법을 설파하기 위해 살아가신 부처님은 마지막 자리에서도 당신을 존경하고 공경하는 일은 가르침을 닦고 익히고 가르침대로 살아가는 길임을 설파하셨다. 부처님은, 이 세상 모든 것은 덧없기 짝이 없으니 게으름 피우지 말고 정진해서 이번 생에서 이뤄야 할 가치 있는 일을 반드시 성취하기를 마지막 유언으로 당부하셨다.
부처님의 법향이 여전히 생생하게 살아 있는 지금, 누구나 부처님 마음으로 부처님처럼 살아가야 한다. 자신의 어리석음을 떨쳐 버리고 다른 이를 깨닫게 해주고, 세상을 이롭고 행복하게 하려는 마음으로 살다 가신 부처님을 닮아야 한다.”(145쪽)

불자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기본서, 불교성전

《불교성전》 1장 이후부터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에 해당하는 여러 경전의 내용을 주제별로 묶었다.
제2장 ‘위대한 가르침’에서는 모든 것은 변하며 삶은 괴롭다는 것, 궁극의 가르침 무아(無我), 욕망은 채워지지 않으며 성냄은 자신을 불태우고 어리석음은 우리를 헤매게 한다는 등 불교의 대표적 가르침을 소개한다.
제3장 ‘보살의 길’에서는 믿음과 보시의 공덕, 계행과 삼귀의 하는 법 등 수행자들에게 전하는 말씀을 모았다.
제4장 ‘불국토 구현’에서는 생명의 소중함과 죽음의 덧없음, 진정한 친구란 누구이며 바른 생활은 무엇인지 등, 재가자의 수행과 출가자의 삶뿐만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기준으로 화합하는 중생과 지도자의 면면을 다룬다.
성전 뒷부분에 수록된 부록에서는 부처님 당시 인도 지도와 4대 성지의 모습, 불교사 연표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원행 스님은 “불자를 불자답게 만드는 것이 불교성전”이며 “이 책을 읽고 이해하면서 한 차원 더 신심이 깊어지고 불자들의 신행 활동에 새로운 장을 열어줄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포교원장 지홍 스님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새로운 불교성전을 발간하라는 사부대중의 요구를 더 이상 미룰 수 없었다”며, “기존의 한자 위주로 기록한 부처님의 가르침을 한글로 편찬하여, 불자들이 손쉽게 불교의 핵심적인 내용을 살펴볼 수 있게 했다”고 강조했다.
《불교성전》은 불교에 대해 처음 다가서는 초심자부터 불교에 대해 더 깊이 알고자 하는 불자들까지 모두 아우르는, 불교에 대한 기본서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불자들이 불교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세우고, 이를 토대로 경전 독송과 법회 자료 등에 널리 이용하기를 기대해본다.

저자소개

편집 : 대한불교조계종 불교성전편찬추진위원회
없음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