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금강반야바라밀경(독송본)


  • ISBN-13
    978-89-93629-04-0 (03220)
  • 출판사 / 임프린트
    조계종출판사 / 조계종출판사
  • 정가
    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9-01-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
  • 메인주제어
    불교경전 및 숭배의 글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불교경전 및 숭배의 글 #금강경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100 Page

책소개

◎ 대한불교조계종 소의경전<금강경> , 드디어 표준 독송본 발간!
<금강경> 의 정식 명칭은 <대승금강반야바라밀경> 이며 이를 줄여서 <금강반야경> 또는 <금강경> 이라고 한다. <금강경> 은 대승경전의 어머니로 칭송되며,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계종의 근본이념을 담고 있는 경이면서도 종단 차원에서 간행된 <금강경> 이 없어 종도들은 백 여 종이 넘는 서로 다른 한글 <금강경> 의 유통 속에서 혼란을 겪어야 했다. 이에 대한불교조계종은 종도들이 <금강경> 을 쉽게 독송하고, 경전에 담긴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강경 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2년여의 학술연찬을 통해 드디어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 을 발간했다. 

◎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 의 특징... 더보기

◎ 대한불교조계종 소의경전<금강경> , 드디어 표준 독송본 발간!
< 금강경> 의 정식 명칭은 <대승금강반야바라밀경> 이며 이를 줄여서 <금강반야경> 또는 <금강경> 이라고 한다. <금강경> 은 대승경전의 어머니로 칭송되며,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所依經典)이기도 하다. 그러나 조계종의 근본이념을 담고 있는 경이면서도 종단 차원에서 간행된 <금강경> 이 없어 종도들은 백 여 종이 넘는 서로 다른 한글 <금강경> 의 유통 속에서 혼란을 겪어야 했다. 이에 대한불교조계종은 종도들이 <금강경> 을 쉽게 독송하고, 경전에 담긴 내용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금강경 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2년여의 학술연찬을 통해 드디어 <조계종 표준 금강반야바라밀경> 을 발간했다.

목차

1. 법회인유분 / 법회의 인연
2. 선현기청분 / 수보리가 법을 물음
3. 대승정종분 / 대승의 근본 뜻
4. 묘행무주분 / 집착 없는 보시
5. 여리실견분 / 여래의 참모습
6. 정신희유분 / 깊은 믿음
7. 무득무설분 / 깨침과 설법이 없음
8. 의법출생분 / 부처와 깨달음의 어머니, 금강경
9. 일상무상분 / 관념과 그 관념의 부정
10. 장엄정토분 / 불국토의 장엄
11. 무위복승분 / 무위법의 뛰어난 복덕
12. 존중정교분 / 올바른 가르침의 존중
13. 여법수지분 / 이 경을 수지하는 방법
14. 이상적멸분 / 관념을 떠난 열반
15. 지경공덕분 / 경을 수지하는 공덕
16. 능정업장분 / 업장을 맑히는 공덕
17. 구경무아분 / 궁극의 가르침, 무아
18. 일체동관분 / 분별없이 관찰함
19. 법계통화분 / 복덕 아닌 복덕
20. 이색이상분 / 모습과 특성의 초월더보기 
 

1. 법회인유분 / 법회의 인연
2. 선현기청분 / 수보리가 법을 물음
3. 대승정종분 / 대승의 근본 뜻
4. 묘행무주분 / 집착 없는 보시
5. 여리실견분 / 여래의 참모습
6. 정신희유분 / 깊은 믿음
7. 무득무설분 / 깨침과 설법이 없음
8. 의법출생분 / 부처와 깨달음의 어머니, 금강경
9. 일상무상분 / 관념과 그 관념의 부정
10. 장엄정토분 / 불국토의 장엄
11. 무위복승분 / 무위법의 뛰어난 복덕
12. 존중정교분 / 올바른 가르침의 존중
13. 여법수지분 / 이 경을 수지하는 방법
14. 이상적멸분 / 관념을 떠난 열반
15. 지경공덕분 / 경을 수지하는 공덕
16. 능정업장분 / 업장을 맑히는 공덕
17. 구경무아분 / 궁극의 가르침, 무아
18. 일체동관분 / 분별없이 관찰함
19. 법계통화분 / 복덕 아닌 복덕
20. 이색이상분 / 모습과 특성의 초월
21. 비설소설분 / 설법 아닌 설법
22. 무법가득분 / 얻을 것이 없는 법
23. 정심행선분 / 관념을 떠난 선행
24. 복지무비분 / 경전 수지가 최고의 복덕
25. 화무소화분 / 분별 없는 교화
26. 법신비상분 / 신체적 특징을 떠난 여래
27. 무단무멸분 / 단절과 소멸의 초월
28. 불수불탐분 / 탐착 없는 복덕
29. 위의적정분 / 오고 감이 없는 여래
30. 일합이상분 / 부분과 전체의 참모습
31. 지견불생분 / 내지 않아야 할 관념
32. 응화비진분 / 관념을 떠난 교화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편역 : 대한불교조계종교육원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엮은이)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은 조계종의 승가교육을 담당하는 종무행정기관이다. 산하에 학술연구기관인 불학연구소를 두고 있다.
책임 편집자(집필 담당) 경완(景完) 스님은 1986년에 덕숭총림 수덕사 환희대로 출가했다.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대만 불광산총림학원에서 수학했다. 한서대학교에서 석사를,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중국고전소설 전공)를 각각 받았다. 근대 한국불교계의 대표적 비구니이자 문인, 사상가였던 일엽 스님의 4대 손상좌로 김일엽문화재단 부이사장,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고려대학교 강사, 학교법인 승가학원 교육개방이사 등의 소임을 맡고 있다. 저서로 ≪대학생을 위한 한자와 한문의 이해≫, ≪한국 비구니의 수행과 삶≫, ≪한국 현대작가와 불교≫, ≪돈황학대사전≫(이상 공저)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