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현장검증


  • ISBN-13
    979-11-6316-042-7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에이투지엔터테인먼트 / 고즈넉이엔티
  • 정가
    13,5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9-04-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종관
  • 번역
    -
  • 메인주제어
    스릴러 / 서스펜스소설
  • 추가주제어
    범죄, 미스터리소설
  • 키워드
    #범죄, 미스터리소설 #케이스릴러 #범죄수사 #영화화 #형사물 #스릴러 / 서스펜스소설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5 * 210 mm, 304 Page

책소개

우리 장르문학의 자존심, 케이스릴러 드디어 형사가 주인공인 스릴러 소설이 나왔다! 기억과 시력을 잃은 형사, 모방범죄 연쇄살인마를 쫓다 국내 유일의 범죄수사 전문 잡지 편집장으로 15년 작가의 취재 경험을 녹여낸 범죄소설의 놀라운 리얼리티! 국내 최고의 프로파일러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부장조차 감탄한 과학수사와 형사 세계의 완벽한 재현

목차

이 책은 목차가 없습니다.

본문인용

남자는 소리만으로 모두를 구분할 수 있었지만, 그들의 일상적이지 않은 움직임까지 판단할 수는 없었다. 그들이 패턴에서 벗어나면 남자는 불안했다. 김 간호사가 이 간호사에게 오더를 내리지 않고 직접 링거를 교체하면 불안했고, 한 박사가 일곱 걸음을 한꺼번에 걷지 않고 멈춰서면 불안했다. 청소하는 아주머니와 최 순경이 대화를 하지 않으면 불안했고, 방문자가 있는데 실수로라도 문이 닫히는 소리가 들리면 공포에 질렸다. 남자에게는 사람들의 소리와 패턴을 기억하는 것이 카피캣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었다. (p. 15) “결국 수사팀도 아내의 실종사건을 살인사건으로 전환했어요. 실효는 없지만요. 카피캣이 그렇게 만든 거죠. 그래서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거고.” 수인은 한지수의 대답이 이어지길 기다렸다. 그는 몸 어딘가에서 스위치가 켜진 듯 열이 올랐고 몸이 저렸다. 손바닥은 땀으로 축축해져 침대보를 움켜쥐고 놓지 않았다. 흥분이 밀려오는 중이었다. 본능적인 감각이 살아나는 것만 같았다. 과거의 그가 알고 있는 연쇄살인마의 뒤를 다시 쫓기 시작했다는 추적의 감각. 수인은 본능적으로 깨달았다. 연쇄살인마를 쫓는 것이 자신을 찾아가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걸. 입가가 떨리는 걸 숨기느라 이를 꽉 물었다. (p. 42) 수인은 오피스텔 건물의 구조가 머릿속에 그려지지 않았다. 그가 생각한 보통의 오피스텔보다 넓었고, 복도의 구조가 복잡했다. 한 형사가 오피스텔 문을 열었다. 피 냄새가 묵은 공기와 함께 쏟아져 나왔다. “이정우의 정확한 사인은 다발성자창(날카로운 것에 찔려서 두 군데 이상 생긴 상처)에 의한 실혈사예요. 동맥이나 장기를 건드린 치명적인 상처는 없어요.” 수인은 한 형사가 이끄는 대로 오피스텔 안으로 들어섰다. 복도보다 싸늘한 냉기에 몸이 움츠려들었다. 한 형사가 오피스텔의 불을 켰는지 캄캄한 어둠 속으로 빛이 섞여 들어왔다. 수인은 자신의 발자국이 현장을 훼손할까 봐 한 걸음 내딛는 데도 신경이 쓰였다. (p. 107)

서평

기억과 시력을 잃은 형사, 모방범죄 연쇄살인마를 쫓다 케이스릴러 최초의 범죄수사 스릴러 소설 국내 유일의 스릴러 소설 브랜드 케이스릴러에서 처음으로 형사들이 주인공인 범죄수사 스릴러가 출간되었다. 모방범죄 연쇄살인마인 카피캣을 쫓다가 기억과 시력을 잃고 병원에서 치료 중인 이수인 경감. 살인 용의자를 자살로 몰아 감찰 대상이 된 과학수사계 한지수 경사. 살인 용의자가 자살인 아니라 살해 당했다는 증거를 찾기 위해 한지수 경사는 이수인 경감을 찾아간다. 눈도 보이지 않고, 기억도 잃은 이 경감을 보고 실망하는 것도 잠시, 그가 보여주는 수사 예측은 놀라움을 자아낸다. 카피캣이 냉각기를 깨고 다시 살인을 저지르면서, 이 경감은 한지수 경사의 요청으로 현장검증에 나서 단서를 찾기 시작하고, 놀라운 반전들이 숨 쉴 틈 없이 일어난다. 전문성 돋보이는 범죄수사 스릴러 소설 이 소설의 주인공 이수인은 수사 경험의 기억도 없고, 시력을 잃어 보이지도 않는다. 오직 육체가 본능적으로 반응하는 과거의 감각만으로 살인범을 잡아야 한다. 이 정도면 형사로서 최고난도의 약점을 가진 주인공인데, 이런 상태로 심지어 현장검증까지 나서서 단서를 찾아낸다. 보이지도 않는데 어떻게 단서를 찾아내고, 범인의 흔적을 발견할까? 웬만한 테크닉과 정교한 장치, 풍부한 전문 지식 없이는 이런 설정 자체가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기존에 없던 방식으로 살인사건을 분석하며 조금씩 카피캣의 정체에 다가서는 두 형사의 집요한 추적은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살인을 저지른 살인범만 골라 그의 범죄를 그대로 모방해 죽인다는 카피캣의 설정 또한 기존의 카피캣과 차별된다. 선의의 살인마인지, 그냥 사이코패스인지 구분조차 안 되는 연쇄살인마를 쫓는 과정이 숨겨진 살인을 분석하면서 이루어져 긴장감을 더한다. 범죄수사 스릴러 전문 작가의 탄생 이종관 작가의 이력은 여느 작가들과 조금 독특한 부분이 있다. 작가는 국민대학교 대학원에서 문예창작학을 전공하고, 국립극장에서 공모한 신작희곡 페스티벌에 당선되어 희곡작가로 먼저 등단했다. 그러나 범죄수사 스릴러 소설 『현장검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작가의 경력은 따로 있다. 작가는 국내 유일의 범죄수사 전문 잡지의 편집장으로 15년 넘게 근무했다. 이 범죄수사 잡지는 수사에 직접적인 내용들과 사건현장의 실제 사진들이 그대로 실리기 때문에 일반인은 구독할 수 없다. 작가는 사건 취재는 물론, 과학수사의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과학수사 기법과 심리분석 기법 등을 소개해 현장에 적용시키는 데 공헌한 공로로, 한국잡지협회에서 시상하는 ‘한국잡지언론상’ 편집부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 ‘과학수사’, ‘CSI'라는 말이 유행하기 전부터 이미 작가는 과학수사의 스펙트럼을 넓히는 단행본 작업들을 해왔다. 작가가 지금까지 기획해 발간한 단행본들은, 지문감식 정도에 머물러 있던 과학수사에 대한 인식을 ‘미세 증거물’과 ‘혈흔형태분석’, ‘프로파일링’과 같은 분야로 넓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에도 여러 차례 참여해 부검 사진을 찍어 단행본의 표지와 내지에 사용하기도 했다. 국내 범죄수사 전문 스릴러 작가의 탄생은 이처럼 극적인 경력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종관 작가의 등장은 올해 우리 장르문학의 가장 의미 있는 수확이다.

저자소개

저자 : 이종관
국민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졸업
2001년, 국립극장 신작희곡 페스티벌 당선
2012년, EBS 라디오문학상 당선
국내 유일 범죄수사 전문 잡지 편집장으로 15년 근무. 우리나라에 ‘과학수사’, ‘CSI’란 말이 유행하기 전부터 과학수사 전문수사관들과 함께 과학수사의 영역을 ‘미세증거물’, ‘혈흔형태분석’, ‘프로파일링’ 분야 등으로 넓힘. 과학수사 인식 확대에 기여, ‘한국잡지언론상’ 수상
2019년, 미스터리 스릴러 소설 『현장검증』 출판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