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도형상담 입문서

도형심리유형검사(GPTI)를 통한 자기탐색과 상담활용법


  • ISBN-13
    979-11-86711-07-1 (9318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심상코 / 도서출판 심상코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6-08-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백승철
  • 번역
    -
  • 메인주제어
    심리학
  • 추가주제어
    건강, 인간관계, 개인발전
  • 키워드
    #성격 특성 #건강, 인간관계, 개인발전 #심리학 #도형상담 #도형심리 #심리검사 #GPTI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학술 전문서
  • 도서상세정보
    181 * 258 mm, 368 Page

책소개

저자는 오랫동안 상담을 공부하면서 특별히 성격유형과 기질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던 중 도형상담을 접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공부하고 강의를 하면서 준비한 PPT 자료와 월간유아에서 2회에 걸쳐 주최한 국제유아교육박람회의 전문 강좌 및 심리검사 자료집을 준비하면서 만든 교재들을 정리하여 2013년에 책으로 출간하였다. 그 당시 도형상담 검사지에 대한 정확한 이름이 없이 ‘도형상담’이나 ‘도형심리’ 등으로 불렀는데 상담학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는 검사지에 대한 전문 용어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어 2013년에 책을 출간하면서 ‘도형심리유형검사(Graphics Psychology Type Indicator)’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그 후 개정판의 필요성을 느껴 새로운 내용들을 좀 더 보완하여 2014년에 제2판을 출간하였으며, 한국도형심리상담협회를 통해 용어를 통일하고 6,400여 명의 도형 검사지를 토대로 각 연령별 통계 자료와 가족의 역동성과 주요 문제들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도형심리 가계도를 새롭게 선보여 2016년에 제3판을 출간하게 되었다.

목차

제3판 서문 … 5

제1부 심리검사와 성격의 이해

1장. 심리검사의 이해
A. 심리검사의 특징
1. 심리검사의 정의 … 21
2. 심리검사의 유사한 표현 … 22
3. 심리검사의 구성 개념 … 23
4. 심리검사의 목적 … 24
5. 심리검사의 유형 … 25
6. 심리검사의 종류 … 26
B. 성격심리검사
1. 검사도구의 구조화 … 28
2. 정신병리 진단 … 34
3. 심리검사에 대한 인식 … 34

2장. 성격과 기질
A. 성격이란
1. 성격의 의의 … 37
2. 성격의 구성 요소 … 38
3. 성격 용어 … 39
4. 성격을 연구하는 이론 … 40
B. 성격과 기질
1. 용어에 대한 이해 … 44
2. 팀 라헤이의 정의 … 45
3. 기질의 욕구가 채워지지 않을 때 나타나는 문제들 … 46
4. 성격과 기질을 알 때 유익한 점 … 46

제2부 도형심리유형검사 (GPTI)

1장. 도형심리의 이해
A. 도형의 유래
1. 도형의 사전적 의미 … 49
2. 기하도형의 정의와 기원 … 49
B. 도형의 상징적 의미와 심리적 특성
1. 상징 … 51
2. 도형의 공간적 이해 … 52
3. 도형의 심리적 특성 … 54
4. 도형과 도형심리 … 59
C. 도형심리유형검사(GPTI)
1. 도형상담의 정의와 도형심리유형검사(GPTI) … 60
2. 도형상담 검사지 양식(Form) … 62
3. 도형 모사법 … 63
4. 도형상담의 특징 … 64
5. 도형심리유형검사와 타 성격유형검사의 차이 … 65
6. 상담시 주의할 점 … 65

2장. 도형심리 발달사
A. 엠페도클레스 … 67
B. 히포크라테스 … 69
C. 아리스토텔레스 … 71
D. 테오프라스토스 … 72
E. 갈레누스 (갈렌) … 73
F. 아타나시우스 키르허 … 75
G. 임마누엘 칸트 … 76
H. 빌헬름 분트 … 79
I. 슈타이너 … 80
J. 칼 융 … 82
K. 캘톤 … 84
L. 바슐라르 … 85
M. 크레치머 … 88
N. 윌리암 마스톤 … 90
O. 올포트 … 92
P. 폴 투르니에 … 93
Q. 에리히 프롬 … 94
R. 아브라함 매슬로우 … 95
S. 팀 라헤이 … 97
T. 알 타이어 … 99
U. 칼 라이너 … 99
V. 윌버 몰리 … 101
W. 기타 … 102

제3부 기질적 특성

1장. 도형의 기질적 특성 (주 기질)
A. 동그라미(○) 정감형 … 105
B. 세모(△) 기획형 … 108
C. 네모(□) 실천형 … 112
D. 에스(S) 사색형 … 115
E. 기질별 특징 종합 … 119
F. 기질별 특징 비교 … 120
G. 기질과 좌우명 … 123
H. 기질과 건강 … 124
I. 기질과 음악 … 125
J. 연령별 기질 분포도 … 126

2장. 도형의 공간 이해
A. 공간과 시간 … 129
B. 주 기질과 2∼4차 관심사 찾는 법
1. 도형의 크기가 작을 때 … 130
2. 큰 도형과 작은 도형의 혼합 … 131
C. 또 다른 나의 기질
1. 마스크 기질 … 133
2. 냉동 기질 … 135
3. 주기질의 발휘 여부와 칭찬 언어 … 136
D. 위치에 따른 도형의 해석
1. 상하 도형의 해석(관심사) … 136
2. 좌우 도형의 해석(성격) … 137
E. 조하리의 마음의 창 … 139

3장. 위치에 따른 기질별 장단점
A. 도형별 장단점 위치
1. 동그라미(○) 정감형의 장단점 위치 … 144
2. 세모(△) 기획형의 장단점 위치 … 144
3. 네모(□) 실천형의 장단점 위치 … 145
4. 에스(S) 사색형의 장단점 위치 … 145
B. 도형별 장단점 위치 (OHP 필름용) … 146

4장. 복합기질의 종류와 유형별 해석
A. 복합기질의 종류와 특성(팀 라헤이) … 149
B. 12가지 기질 조합
1. 동질성 혼합기질 … 150
2. 갈등성 혼합기질 … 151
3. 보완성 혼합기질 … 153

5장. 복합 도형 (상극과 상생)
A. 상극과 상생 … 155
B. 부담을 주는 도형 … 156
C. 도형과 도형의 만남 (복합도형) … 157
D. 기질별로 상극하는 모습 … 158

6장. 기질별 교육 방법 및 적성
A. 영유아 자녀의 기질별 특징 … 161
B. 기질별 효과적인 교육 방법
1. 외향과 내향의 특징 … 163
2. 동그라미(○) 정감형의 특징 … 164
3. 세모(△) 기획형의 특징 … 165
4. 네모(□) 실천형의 특징 … 165
5. 에스(S) 사색형의 특징 … 166
C. 기질과 적성 … 167
D. 기질에 따른 적응력(Ability) … 170

7장. 기질 스타일 확인과 기질별 제안
A. 전형적인 기질 스타일 확인
1. 1차 기질이 ○ 정감형인 경우 … 173
2. 1차 기질이 △ 기획형인 경우 … 174
3. 1차 기질이 □ 실천형인 경우 … 175
4. 1차 기질이 S 사색형인 경우 … 176
B. 기질별 노력 포인트 … 177
C. 기질별 제안 및 동기부여
1. 기질별 제안 … 179
2. 기질별 동기부여 … 179
D. 영적 성숙을 위한 기질 다루기
1. 기질 다루기 … 180
2. 기질과 영적 성숙 … 182

제4부 성격적 특성

1장. 6가지 기본 도형 (성격적 특징)
A. 분리형 - 순수 … 188
B. 중복형 - 극상극하 … 190
C. 몰입형 - 집중 … 192
D. 밀착형 - 조사, 분석 … 195
E. 일치형 - 천재, 성공 … 197
F. 드문형 - 부조화 … 199
G. 6가지 기본도형 (성격적 특징) 종합 … 202
H. 연령별 성격 분포도 … 204

2장. 이분적 도형 (제2의 천성)
A. 이분적 도형이란 … 209
B. 이분적 도형이 나타나는 이유 … 210

3장. 화면의 구성능력 (능력치)
A. 성격 유형과 능력치 … 213
B. 성격 유형과 능력치 해석 … 215

제5부 심리상태 (이상심리)

1장. 특이 도형
A. 콤플렉스 - 열등감 (Bad Point)
1. 콤플렉스의 원인 … 220
2. 콤플렉스의 증상 … 221
3. 유형별 콤플렉스 … 221
4. 콤플렉스의 치료와 극복 방법 … 223
B. 역동성 (Good Point) … 226
C. 탑형 (Top Type) … 230
D. Life Shock (상처)
1. Life Shock이란 … 233
2. Life Shock 도형 … 233
3. Life Shock 도형이 그려질 수 있는 시기와 도형 해석 … 233
4. Life Shock의 증상 … 234
5. Life Shock의 치료 … 234
E. 응집점 (Joint Point)
1. Joint Point 도형 … 236
2. Joint Point 도형과 상담 Tip … 236
F. 편집증 (집착)
1. 편집증 … 238
2. 편집성 성격의 형성 … 238
3. 편집성 성격장애의 진단 … 239
G. 우울증
1. 우울증 … 242
2. 기질별 우울증의 원인 … 242
3. 우울증의 치료 … 243
H. 조울증
1. 조울증 … 245
2. 조울증의 원인 … 245
3. 조울증의 증상 … 246
4. 조울증의 치료 … 246
5. 도형에서의 조울증 진단 … 247
I. 일자 … 248
J. 십자 … 250

2장. 기형 도형
A. 기형 도형 … 257
B. 기형 도형의 해석 … 257

3장. 배열 도형 (배열에 따른 분석)
A. 영적인 문제
1. 영적 + 영적인 문제 … 262
2. 영적 + 심리적인 문제 … 263
3. 영적 + 신체적인 문제 … 264
B. 심리적인 문제
1. 심리적 + 영적인 문제 … 265
2. 심리적 + 심리적인 문제 … 266
3. 심리적 + 신체적인 문제 … 267
C. 신체적인 문제
1. 신체적 + 영적인 문제 … 268
2. 신체적 + 심리적인 문제 … 270
3. 신체적 + 신체적인 문제 … 271

4장. Close up (구도에 따른 분석)
A. 화면의 구도(close up) … 273
B. 구도에 따른 심리, 정서 문제 … 274

제6부 도형심리 가계도

1장. 가계도와 도형심리 가계도
A. 가계도의 이론적 배경
1. 가계도 작성 방법 … 279
2. 가족 구도의 도식화 … 279
B. 도형심리 가계도 … 281

2장. 도형심리 가계도 분석 사례
A. 분석 사례 1 … 283
B. 분석 사례 2 … 286
C. 분석 사례 3 … 289
D. 분석 사례 4 … 292

제7부 도형심리의 종합적 해석

1장. 도형 분석 방법과 종합적 해석
A. 도형 분석 방법 Tip … 301
B. 종합적 해석 … 302
C. 도형 해석 사례 … 302

2장. 도형 종합해석 예제 100 … 307

3장. 도형심리상담사 예상 문제 … 341

4장. 도형심리상담사 자격 발급 안내
A. 민간자격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357
B. 도형심리상담사 자격정보 … 357
C. 도형심리상담사 자격과정 시행세칙 … 359

참고문헌 … 361

본문인용

3. 도형의 심리적 특성
인류는 무의식적으로 ‘성격이 둥글둥글하다’ ‘성격이 모났다’ 등과 같이 어떤 의미를 도형을 이용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기서 둥근 것은 원만하고 포용력이 있으며, 모난 것은 비타협적이고 제한적이며 딱딱함을 의미한다.(잉그리트 리델 2013) 많은 학자들이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온 상징을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하였는데 해석에 있어서 조금씩은 차이가 있지만 그 기본적인 맥락은 공통점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도형심리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4가지 도형이 의미하는 상징성과 심리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동그라미 (원)
세계문화상징사전에 보면 원은 보편적인 상징으로서 전체성, 완전성, 동시성, 원초의 완전함을 뜻한다. 원은 가장 자연스러운 모양으로 자연 상태의 원 모양인 태양과 달은 신성한 것으로 여겨왔으며 최초의 모양으로 인식한다.(권채현 2007) 또한 원은 광대함과 아늑함을 동시에 보장한다. 원은 이리저리 돌아다니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한다. 원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가면 정신을 집중하게 하고 중심을 찾게 하지만, 안에서 밖으로 나가면 원은 점점 더 큰 공간을 만들고 결국에는 우주를 상징하는 상이 된다.(잉그리트 리델 2013) 그러므로 원은 에워싸여 있음을 의미하며 영원이나 시간의 흐름을 상징한다. 융(Carl Jung)은 “원은 마음의 상징이다”(칼 융 2013)라고 하였는데 원을 만다라 형태로서 조화와 통일성, 내적 질서와 균형, 나아가 개성화의 과정으로 보았다. 각이 있는 형태가 긴장감을 준다면 원은 이완을 시켜주는 심리적 특성이 있다.(정여주 2003,최유진 2012)
모든 문화에서 원은 전체와의 합일의 경험을 상징한다. 전체성을 추구할 때 사람들은 독립성과 개별성을 열망한다. 이때 그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공간, 즉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의 정체성(identity)을 개발시킬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자신을 억제하거나 제한시킬 상황에 처하게 되는 것이다.(박정원 2002, 권채현2007)
이처럼 개별화의 과정에 있는 사람들은 많은 공간이 주어질 때 사랑받고 신뢰받는 느낌을 갖게 되지만 개별화의 과정이 저지를 당하거나 결론에 이르게 되지 않을 때에는 심하게 자기도취적이 되거나 심지어 자기애(narcissism)에 빠질 수도 있다. 명확한 공간적 욕구는 상호지지에 필수적이므로 개별화의 과정에 있는 사람이 접촉과 교류를 시작하도록 허용하고 기다려주는 것이 현명하다.(권채현 2007, 박정원 2002, 이영림 2004)
성격을 도형으로 표현했을 때 원형의 사람은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주위 사람들을 진정으로 아낀다. 가족과 친구, 동료가 행복해지기를 바라고 모든 것이 순조롭고 평화롭게 유지되기를 바란다. 기하학적으로 원은 조화를 나타내는 신화의 상징이다. 원을 선택한 사람은 좋은 인간관계를 맺는데 가장 관심이 많다. 원형에 속하는 사람들은 다른 유형에 비해 누구와도 이야기가 잘 통하며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이며 공감대를 빨리 형성할 줄 안다. 또한 협력적이어서 사회적으로 평판이 좋지만 사업 경영자로서의 자질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원형의 사람은 개별적인 것보다 통합적인 것을 중시하며, 총체적인 사고방식의 소유자로 모든 일이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에 관심을 집중한다. 그러나 평화와 조화만 유지하려고 하다보니 필요한 경우에 강경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독단적인 유형에게 이용당하는 사람도 있다.(수잔 델린저 2007, 최유진 2012)

[본문 pp.54-55 중에서]

서평

-

저자소개

no image book
저자 : 백승철
서울신학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상담심리학 박사 수료 (Th.D. cand)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목회상담학 석사 (Th.M.)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상담학 석사 (M.A.C)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B.A)

봉양성결교회 담임목사
한국심리상담코칭연구소 소장
한국도형심리상담협회 사무총장
한국도형심리상담연합회 사무총장
도서출판 심상코 대표
경찰대학, 경찰교육원 외래교수 역임

<저서>
도형상담 입문서 1판 (2013)
도형상담 입문서 2판 (2014)
도형상담 입문서 3판 (2016)

<공저>
도형심리로 마음읽기 (2015)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