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진리와 자유의 길


  • ISBN-13
    979-11-288-5684-6 (03220)
  • 출판사 / 임프린트
    커뮤니케이션북스㈜ / 지식을만드는지식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5-1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법정
  • 번역
    -
  • 메인주제어
    불교: 신앙생활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불교 #수행 #맑고 향기롭게 #길상사 #불교: 신앙생활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8 * 188 mm, 470 Page

책소개

? 상세 책 소개

 

법정 스님의 새 책, 13년 만에 출간

 

법정 스님이 자신의 불교 이해와 실천 방법을 요약 정리한 책이다. 원고 작성 이후 35년 만에 유고가 정리되었다. 법정 스님이 직접 쓴 책은 2008년 출간된 ≪아름다운 마무리≫가 마지막이었다. 그 뒤에도 2009년 ≪일기일회≫ 등이 출간되었으나 법정 스님이 직접 써서 펴낸 책은 아니었다. 법문 내용이나 강연 등을 정리한 내용이거나 이미 출판되었던 글을 재편집한 것, 주변 인물들의 회고나 사진집 등이었다.

이 책은 법정 스님이 모든 것을 넘겨준 '(사)맑고 향기롭게' 시민 모임이 2021년 5월 19일 부처님 오신 날을 맞아 법정 스님의 미발표 유고를 묶어 출간하는 것으로 2008년 이후 13년 만에 등장하는 법정 스님의 신간이다.

 

법정 스님 입적 뒤 불일암에서 수행 중인 맏상좌 덕조 스님은 출간의 의미를 이렇게 설명한다.

“불기2565년을 맞는 부처님 오신 날에 부처님이 어떻게 와서 어떻게 살았는지 생각해 보자는 뜻입니다. 고타마 싯다르타는 생로병사의 운명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하기 위해 진리의 길을 탐구했고 마침내 깨달음을 얻어 대자유인이 되었습니다. 부처님이 되신 뒤에는 모든 중생을 깨달음의 길로 안내하셨습니다. 법정 스님의 삶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자유인이 되기 위해 출가한 뒤 진리를 탐구하고 실천하였습니다. 스님의 무소유는 진리를 실천해 자유인으로 사는 한 방법이었고 이 책은 모든 이웃과 함께 진리를 탐구하고 실천하기 위한 법정 스님의 길라잡이입니다.”

 

법정 스님 입적 이후 새로운 책이 출판되는 사정에 대해서는 이렇게 설명했다.

“은사 스님은 1980년부터 1991년까지 11년 동안 송광사 수련 원장을 맡으셨습니다. 수련생을 위한 불교의 핵심 내용을 집필하고 편집해서 수련 교재를 만들어 직접 강의도 하셨습니다. 그러다 그만두셨는데 수련교재도 그 이후 잊혔습니다. 이번에 월간 ≪맑고 향기롭게≫에 싣기 위해 스님의 원고를 정리하다 그때 쓴 친필 유고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수련 교재를 위해 쓰신 글들이었습니다. 이 소중한 자료가 그동안 잊힌 채 잠들어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생각 끝에 30년 만에 세상에 내놓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신간의 원고는 1987년 수련교재를 중심으로 구성했습니다.”

 

이 책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법정 스님 책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대중이 읽기 쉽게 쓰신 수필과 신문 칼럼 모음집, 법문집, 다른 하나는 대중이 불법을 알기 쉽게 만날 수 있게 옮긴 경전 번역서입니다. 그런데 이 책은 법정 스님이 생각하는 불교의 요체를 정리한 책입니다. 지금까지 출간되었던 책과는 많이 다른 내용과 구성입니다. 법정 스님이 생각하는 불교가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자신의 책을 전부 없애라고 유언한 법정 스님이 신간 출간 사실을 안다면 어떻게 생각할까? 덕조 스님은 이렇게 대답한다.

“제가 모신 은사 스님은 아마도 당신이 빠뜨린 것을 챙겼다고 하실 것 같습니다. 대중의 불교 이해와 수련의 어려움을 덜어 줄 수 있게 되어서 잘되었다고 미소 지으시는 은사 스님 모습이 눈앞에 선합니다.”

 

왜 책의 제목이 '진리와 자유의 길'일까? 덕조 스님은 이렇게 말한다.

“제 마음 한가운데는 늘 은사, 법정 스님이 계십니다. 제가 이곳에서 수련하는 이유를 묻는 분들이 있습니다. 대답은 간단합니다. 불일암은 은사 스님의 애정과 손길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는 곳입니다. 스님의 영혼이 담긴 이곳에서 진리를 찾아 수행하는 것이 나의 삶이고 목적이고 전부입니다. 또 무엇을 위해 수행하느냐고 묻는 분들도 계십니다. 은사 스님도 그러셨지만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자유인이 되고자 수행합니다.”

수행의 목적은 진리의 깨달음이고 깨달음의 끝에는 자유가 있다는 설명이다.

목차

? 목차

책을 펴내며 / 은사 스님과 송광사 불교 수련회의 기억

머리말 / 부처님 오신 날에 부쳐

● 불(佛)

● 선(禪)

● 법정 스님이 들려주는 세 스님 이야기

 

본문인용

? 책 속으로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던 불교란 어떤 것일까? 교조인 불타 석가모니의 순수한 가르침[교법(敎法)]이었을까? 아니면 조사(祖師)의 언행이나 선사(禪師)들의 직설적인 자기주장이었을까? 그것도 아니면 절에 가서 복을 비는 것이었을까?

불교란 더 말할 것도 없이 부처님의 가르침이다. 나아가 스스로 부처가 되는 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아는 불교에서는 불타 석가모니의 인간과 사상이 무엇인지는 소홀히 다루어 왔다. 부처님의 원초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그 원형이 어디에 근거를 두고 있는지 알지 못하고서는 불교의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다. 옳은 불교 신자가 되기 어렵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근본 불교에 대한 학문적인 인식이나 탐구가 거의 없었다. '소승 불교'라고 해서 거들떠보려고도 하지 않았다. 이것은 한자 문화권에 예속된 중국 불교의 식민지적인 현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그저 들은풍월로, 혹은 지레짐작으로 저마다 자기 불교를 이루어 온 셈이다.

그러나 인간의 사상은 항상 그 원천으로 돌아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상은 그 원초의 정신을 회복하게 되고 새로운 활력을 얻는다. 근본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소박하게 직접 전한다. 불교 사상의 원천을 직접 보여 준다.

(<근본불교> 중에서)

 

소박하고 솔직한 전달

열반 이후 2500년이란 오랜 세월이 흘러간 이제 우리는 부처님을 만날 길이 없다. 그러나 ≪아함경≫과 당시 승단의 생활 규범을 기록한 율장(律藏)을 통해서 우리는 부처님 살아 계실 때의 모습과 분위기, 그 말씨를 비교적 생생하게 만날 수 있다. 아함경의 서술은 소박하고 단순하고 솔직하다. 알고 보면 사람의 혼을 일깨우는 가르침이 다 그렇다. 현학적인 논리가 게재되면 거기에는 거짓이나 속임수가 섞이기 쉽다. 우리는 ≪아함경≫과 율장을 통해서 평범한 한 인간의 모습을 부처님에서 발견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자.

 

○ 감기에 걸려 앓는 부처님[상윳타 니카야(Samyutta-nikaya) 7:13 제파비다(提婆比多), 잡아함경(雜阿含經) 44:4 천경(天敬)].

○ 등이 아파 눕고 싶다고, 지친 성자의 뜻을 그대로 전하는 부처님[중아함경(中阿含經) 53 유학경(有學經)].

○ 탁발에 나갔지만 얻지 못하고 빈 바리때로 돌아오는 부처님[상윳타 니카야(Samyutta-nikaya) 4:18 단식(團食)].

○ 한 사람의 바라문에게 질책을 당하면서 침묵하는 부처님[상윳타 니카야(Samyutta-nikaya) 7:3 아수라왕(阿修羅王), 잡아함경(雜阿含經) 42:7 아수라염(阿修羅鹽)].

○ 과식하여 헐떡거리면서 찾아온 어떤 왕에게, 항상 양을 알맞게 먹으면 그렇게 고통을 당하지 않고 오래 살게 될 거라고 말하는 부처님[상윳타 니카야S(amyutta-nikaya) 3:13 대식(大食), 잡아함경(雜阿含經) 42:6 1 천식(喘食)].

 

부처님의 이런 모습은 대승경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아함경에는 부처님의 인간적인 모습이 수록되어 있다. 아무런 꾸밈도 없이 생활하는 부처님의 있는 그대로를 보여 준다. 한 사람의 인간성을 삭제해 가면서 오로지 성스러운 존재로만 추켜세우려는 경향은 초기 경전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난해한 술어와 장엄한 표현을 구사하여 속스러운 것과 갈라놓으려는 의도 같은 것도 없다. 뒷날 결집된 대승 경전에서는 부처님의 이런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후기에 결집된 대승 경전의 거창하고 비현실적인 표현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초기 경전의 이같이 소박하고 솔직 단순한 표현을 보고 시시하게 여긴 나머지 거들떠보려고 하지 않았다. 중국인의 사고방식이나 윤리관으로 볼 때 더욱 그랬을 것이다.

(<근본불교> 중에서)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법정
? 지은이 소개

법정(1932~2010)
1932년 11월 5일(음력 10월 8일)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우수영안길 81(선두리)에서 아버지 박근배, 어머니 김인엽의 아들로 출생. 성명은 박재철.
1935년 아버지 박근배 사망.
1941년 우수영 공립국민학교 입학.
1947년 목포 정광중학교 입학.
1948년 목포상업학교로 전학.
1951년 목포초급상과대학 진학.
1953년 전남대학교 상과대학 진학. 해남 대흥사 만행.
1954년 흑산도 홍도 생활상 조사 활동. 도광 스님과 도천 스님 조우.
1955년 전남대학교 상과대학 3학년 2학기 휴학, 서울 종로구 안국동 선학원에서 효봉 선사를 만나 출가.
1956년 효봉 선사를 은사로 사미계 받고 시봉하면서 통영 미래사와 지리산 쌍계사 탑전에서 정진 수행. 1957년 해인사 선원에서 정진 수행. 해인강원 3기생 입학.
1958년 황산덕을 만나 ≪사상계≫ 구독 시작.
1959년 통도사 금강계단에서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 받고 해인사 전문강원에서 명봉 화상을 강주로 대교과 졸업.
1960년 4.19 혁명. 통도사에서 운허 스님을 도와 ≪불교사전≫ 편찬.
1961년 5.16 군사정변. ≪불교사전≫ 출간.
1962년 ≪선가귀감≫ 옮김.
1963년 ≪불교신문(대한불교)≫에 기고 시작. ≪우리말 八萬大藏經≫ 편찬.
1964년 해인사 퇴설당에서 정진. 동국역경원 창립 동참. <부처님 前上書> 발표해 불교 현실 비판. 함석헌 장준하를 만남.
1965년 <낡은 옷을 벗어라> 발표해 역경 사업의 방향 제시.
1966년 <역사여 되풀이 되지 말라> 발표해 베트남 파병에 대한 불교계 태도 비판.
1967년 동국역경원 편찬부장에 취임하고 서울 봉은사에서 불교 경전 번역.
1968년 <屈身運動> 발표해 형식적 신앙 활동 비판.
1969년 <茶來軒 日誌> 발표. 경전 번역과 저널리스트 활동.
1970년 ≪경향신문≫, ≪중앙일보≫ 등에 <本來無一物> 등 기고.
1971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 결성.≪현대문학≫에 <무소유> 발표. 송광사 선수련회 출범.
1972년 ≪불교성전≫ 편찬. ≪씨알의소리≫ 편집위원.
1973년 첫 저서 ≪영혼의 모음≫ 출간. 불교신문사 논설위원, 주필 겸 편집국장.
1974년 개헌청원운동본부발족. 백만인 서명운동 30인으로 활동.
1975년 2차 인혁당 사건으로 ‘세계 사법사상 암흑의 날’ 경험. 조계산 송광사 뒷산에 불일암을 짓고 홀로 수행 생활 재개.
1976년 <장준하 선생께 띄우는 편지> 발표. 대표작 ≪무소유≫ 출간.
1977년 <불타는 연옥> 집필.
1978년 ≪서 있는 사람들≫ 출간.
1979년 사찰 기행문 <옛 절을 찾아서> 발표.
1980년 <한 줌의 재> 등 집필. 송광사 수련원 원장 취임.
1981년 샬트르성바오로수녀회 대구관구에서 열린 ‘전교 수녀를 위한 세미나’에서 강론. 1982년 ≪말과 침묵≫ 출간.
1983년 ≪산방한담≫ 출간.
1984년 ≪달이 일천 강에 비치리-효봉 선사의 자취≫ 출간, ≪진리의 말씀≫ 출간.
1985년 경전 읽기 모임에서 강연 시작.
1986년 ≪물소리 바람소리≫ 출간.
1987년 보조사상연구원 원장 취임.
1989년 ≪텅빈 충만≫ 출간. 1990년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출간.
1991년 인도 순례. ≪인도 기행≫ 출간.
1992년 조계산 불일암 떠나 강원도에 입산하여 홀로 수행.
1993년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 모임 발족. 파리 길상사 개원. ≪버리고 떠나기≫ 출간.
1994년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대중 강연. 서울 부산 대구 경남 광주 대전으로 확대.
1995년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서울 분원 길상사 등록.
1996년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 출간.
1997년 서울 길상사 창건법회 봉행.
1998년 명동성당 축성 100돌 기념 초청 강연.
1999년 ≪오두막 편지≫ 출간.
2003년 길상사 회주, 맑고 향기롭게 이사장 사임. 파리 길상사 개원 10주년 기념 법문. 2004년 길상사 대중 법회 연 2회로 한정. ≪홀로 사는 즐거움≫ 출간.
2007년 세브란스 병원에서 폐암 진단.
2008년 ≪아름다운 마무리≫ 출간.
2009년 4월 19일 길상사 마지막 법회.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 비구 법정 입적.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