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대체이미지
평면표지(2D 앞표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대체이미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우리는 물이야 : 빅 히스토리로 시작하는 화학 공부

빅 히스토리로 시작하는 화학 공부


  • ISBN-13
    979-11-88236-20-6 (77400)
  • 출판사 / 임프린트
    아이들은자연이다 / 아이들은자연이다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9-0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정모
  • 번역
    -
  • 메인주제어
    그래픽노블/코믹/만화: 교육용
  • 추가주제어
    관심연령 : 7세 이상 , 학습서: 화학 , 학습서: 과학, 일반과학 , 학습서: 환경과학 ,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과학과 기술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우주, 별, 태양계 , 초등학교
  • 키워드
    #빅히스토리 #어린이화학책 #주기율표 #어린이, 청소년 교양: 과학과 기술 #학습서: 과학, 일반과학 #학습서: 화학 #관심연령 : 7세 이상 #그래픽노블/코믹/만화: 교육용 #어린이, 청소년 교양: 우주, 별, 태양계 #학습서: 환경과학 #초등학교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초중고 교재
  • 도서상세정보
    185 * 230 mm, 48 Page

책소개

빨래판 과학책 시리즈. 너무나 작아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물 분자를 상상하고, 또 수학적으로 발견해낸 물 분자의 모양을 관찰할 수 있다. 이정모 관장이 화학과 물에 대해 안내한다. 저자에 따르면 화학은 비료, 플라스틱, 약, 옷을 만드는 원리를 다루는 '연금술'의 영역이다. 현대인의 삶은 '화학 없이는 살 수 없는' 삶으로 규정할 만하다.


그렇다면 '나를 물로 보지 말라'고 할 때의 '물'이란 무얼까? 저자에 따르면 우리 몸 대부분을 이루는 물질이 '물'이다. 인간은 물을 통해 세상에 나왔고, 물을 마시며 생명을 유지한다. 갓난아이는 몸의 70%, 성인은 60%가 물로 이뤄져 있다. 동식물의 몸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수박은 97%가 물이다.
산소 한 개와 수소 두 개 분자가 만나서 이뤄진 물을 캐릭터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헤쳐가는 방식이 신선하다. 큰 원 하나(산소 분자)에 작은 원 두 개(수소 분자)를, 작은 귀에 동그란 얼굴 하나로 캐릭터화한 그림이 장면 중간중간 해설자로 등장한다. 그래서 화학과 물에 대한 이야기마다 위트가 넘친다. 물 캐릭터와 주인공이 대화를 하면서 물의 탄주인공이 대화를 하면서 물의 탄생, 물의 구성, 물의 작용과 변화 등도 세세히 알려 준다.


권말에 더 궁금한 질문과 답, 118개의 원소가 있는 주기율표, 우주에서 원소가 발생한 순서도 알려준다. 특히, 최근에 알게 된 원소들의 고향, 즉 원소들이 발생한 곳을 알려주는 내용을 실었다. 빅뱅, 별, 초신성, 중성자별로 이어지는 원소의 고향은 우주의 역사가 주기율표에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이는 원소를 외우기에 앞서서 어린이들이 앞으로 만날 화학 공부의 재미와 방향을 알려줄 것이다.

목차

목차없음

본문인용

P. 18~19 사람 몸속에서는 단백질 같은 다양한 물질이 만나서 쪼개지고 합쳐지며 반응을 해. 세포도 만들고 병균과 싸우는 힘도 생기지. 사람 몸에 꼭 필요한 단백질이나 철분 같은 물질이 서로 만나고 작용하려면 자유롭게 헤엄치거나 날아다닐 공간이 필요해. 그런 곳에 바로 물이 있어. 온도를 유지해 주면서 몸속 물질이 쉼없이 움직이게 돕는 물질로 물이 딱 좋아.

P. 39 화학이라는 말에 나쁘고 위험하고 무서운 것이라는 의미를 씌우는 경우가 많아요. 화학 전공자로서 아쉽습니다. 고학년으로 올라가서 원소의 작동 원리나 원소들이 결합하는 방법을 배우기 시작하면 화학 공부를 포기하는 사람도 있어요. 과학자도 원소 118개를 속속들이 모두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으니 더 어렵고요. 그럴 땐 덜 중요한 것은 빼고 본질을 찾아보세요. 무시하면 안 되는 것을 골라 보세요. 그러면 물이 반드시 있을 거예요.
원소들이 결합해서 세상의 모든 물질들이 만들어집니다. 물도 생명체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화학을 공부하게 되면 내 몸을 만든 재료들을 알게 됩니다. 부엌에서 음식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도 화학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내 몸속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어떻게 소화되고 내 몸을 유지하는지도 알게 되지요. 아플 때 먹는 약도 화학의 도움으로 만듭니다. 화학에 대해 더 알고 싶지 않나요?

P. 41 [질문2] 우주에 수소가 가장 많다고요? 우리 몸에도요?
우주에는 수소가 가장 많아요. 이유는 간단해요. 가장 단순한 원소거든요. 핵에는 양성자가 하나 들어 있고, 전자껍질에는 전자가 하나뿐이에요. 빅뱅 직후에 작은 입자들이 서로 합쳐지면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원소입니다. 수소가 합쳐져서 헬륨이 되고, 헬륨이 합쳐져서 탄소, 산소, 질소 같은 것들이 되죠.
우주에 가장 많다고 해서 우리 몸에도 가장 많은 것은 아니에요. 우주를 이루는 원소들이 우리 몸에 모두 있지 않죠. 또 우리 몸에 있는 원소의 비율은 우주의 원소 비율과는 완전히 달라요. 그게 바로 생명의 특징입입니다. 

P. 47 [질문7] 그럼, 물 분자 몇 개가 모여야 사람이 맨눈으로 볼 수 있나요?

글쎄요. 1밀리미터 정도는 되어야 맨눈으로 보이겠지요? 물 분자를 400만 개 늘어놓으면 1밀리미터쯤 됩니다. 그렇다면 가로, 세로, 높이 1밀리미터의 상자 안에는 물 분자가 몇 개 들어 있을까요? 4,000,000 4,000,000 4,000,000 = 64,000,000,000,000,000,000개네요이 숫자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는 저도 모르겠어요. 지구 인구 76억 명은 숫자로 7,600,000,000이라고 쓰거든요. 얼마나 큰 숫자인지 짐작이 되나요? -<우리는 물이야> 47

서평

<학교도서관저널>

우리는 물이야: 빅 히스토리로 시작하는 화학 공부

??이대건_ 책마을해리 촌장

이정모 관장이 화학과 물에 대해 안내하는 책이다. 저자에 따르면, 화학은 어떤 하나의 물질에 변화를 주어 전혀 다른 성질의 물질을 만들어내는 바탕에 대한 학문이라고 한다. 저자에 따르면 화학은 비료를 만들고, 플라스틱을 만들고, 약을 만들고, 옷을 만드는 원리를 다루는 '연금술'의 영역이라고 한다. 그러니 현대인의 삶은 '화학 없이는 살 수 없는' 삶으로 규정할 만하다.

그렇다면 '나를 물로 보지 말라'고 할 때의 '물'이란 무얼까? 저자에 따르면 우리 몸 대부분을 이루는 물질이 '물'이다. 인간은 물을 통해 세상에 나왔고, 물을 마시며 생명을 유지하는데, 갓난아이의 신체는 70퍼센트, 성인의 신체는 60퍼센트가 물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 동식물의 몸도 물로 이루어져 있다. 심지어 수박의 97퍼센트가 물이다.

책에서 산소 한 개와 수소 두 개 분자가 만나서 이뤄진 물을 캐릭터로 표현하여 이야기를 헤쳐 가는 방식이 신선하다. 큰 원 하나(산소 분자)에 작은 원 두 개(수소 분자)를, 작은 귀에 동그란 얼굴 하나로 캐릭터화한 그림이 장면 중간중간 해설자로 등장한다. 그래서 화학과 물에 대한 이야기마다 위트가 넘친다. 물 캐릭터와 주인공이 대화를 하면서 물의 탄생, 물의 구성, 물의 작용과 변화 등에 대해 세세히 알려 준다.

저자의 길잡이를 따라 화학에 대해 차근차근 이해하고 118개의 원소를 나열한 주기율표도 익혀 볼 수 있겠다. 

 

#이정모 #김진혁 #아이들은자연이다 #어린이 #과학 #화학 #물 #빅히스토리 #학교도서관저널 #책마을해리

저자소개

저자 : 이정모
연세대학교 생화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독일 본 대학교 화학과에서 곤충과 식물의 커뮤니케이션을 연구했으며, 안양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일했습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서울시립과학관 관장으로 재직하였고 현재 국립과천과학관 관장으로 일하고 있습니다. 《달력과 권력》 《공생 멸종 진화》 《저도 과학은 어렵습니다만》 《꽃을 좋아하는 공룡이 있었을까?》《과학자와 떠나는 마다가스카르 여행》 등 다수의 책을 집필, 번역, 감수했습니다.
그림작가(삽화) : 김진혁
만화와 영화를 좋아하는 그림 작가입니다. 그동안 웹툰과 독립출판 만화를 그렸습니다. 《빅뱅 여행을 시작해!》, 《우리는 물이야》 등 어린이책에도 그림을 그렸습니다. 재미있는 이야기에 관심이 많고, 새롭고 다양한 만화를 꾸준히 그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