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이야기가 흐르는 대한민국 소도시 기행(2)


  • ISBN-13
    978-89-98417-50-5 (04910)
  • 출판사 / 임프린트
    나무자전거 / 나무자전거
  • 정가
    1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8-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심우장 , 박인희 , 조재현 , 김종찬 , 박예원
  • 번역
    -
  • 메인주제어
    인물, 문학, 문학연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스토리텔링 #인문학기행 #이야기여행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304 Page

책소개

열 가지 이야기를 따라 가는 대한민국 소도시 기행(2권)

이 책은 열 가지 이야기를 따라 대한민국 소도시들을 둘러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는 남한산성으로 피신한 인조와 신하들의 행적으로만 기억되는 병자호란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역사가 미처 다 기록하지 못한 전쟁의 참혹한 현장을 작자미상의 한문소설 <강도몽유록>을 따라 강화도 곳곳을 둘러보며 전해지는 이야기의 진실을 헤아려 보자. 

두 번째는 노고할미, 양소저 등 멋진 여성들의 이야기이다. 양주 땅 곳곳에 아직까지 남아 있는 그녀들의 자취를 따라가며 그 활약상의 흔적들을 직접 찾아보자. 

세 번째는 바다가 삼킨 두 여인의 이야기이다. 강원도 삼척에는 해신당의 애랑과 <해가>, <헌화가>의 주인공 수로부인의 자취가 곳곳에 남아 있다. 하지만 관광지로 변신하면서 오늘날 두 여인의 행적은 전혀 엉뚱하게 해석되고 있다. 바다가 삼켜버린 두 여인의 진실은 과연 무엇일까? 

네 번째는 경상북도 영주 땅 소수서원과 부석사에 전해지는 이야기이다. ‘왜 우리 모두는 다리 밑에서 주워왔다는 얘기를 들으며 자랐을까?’ 실존하는 청다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보자. 또한 소수서원과 금성대군신단을 거쳐 부석사에 이르는 길에서, 어긋난 사랑의 아픔을 지닌 여인들의 이야기도 들어보자. 

다섯 번째는 견훤과의 전투에서 왕건을 대신 해 죽은 충신 신숭겸의 이야기이다. 비록 역사에는 자주 등장하지 않지만 대구는 고려의 역사에서 잊힐 수 없는 곳으로, 태조 왕건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그 역사의 현장을 직접 찾아보자. 

여섯 번째는 우리에게는 친숙한 도깨비 이야기이다. 처용이 춤을 추고 도깨비와 귀신이 신명나게 놀던 신라의 서라벌, 경주에서 그 흔적을 찾아보자. 잊혀진 듯 우리 삶 속에 살아 숨 쉬는 도깨비의 숨은 매력은 무엇일까? 

일곱 번째는 아랑의 안타까운 이야기이다. 과거 TV 드라마로도 각색됐던 아랑의 흔적을 찾아 경남 밀양으로 떠난다. 여인이기보다는 소녀라는 호칭이 더 어울릴 법한 아랑의 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여전히 오늘날에도 아랑이 살아가고 있음을 알게 된다. 

여덟 번째는 익히 알고 있는 서동과 선화공주의 사랑이야기이다. 그런데 이 이야기가 진짜가 아니라면? 익산 미륵사지와 쌍릉, 토성과 왕궁리 유적을 돌아보며, 선화공주에 가려진 역사 속 백제의 여인을 찾아보자. 

아홉 번째는 역사의 상처와 슬픈 사랑에 관한 사연이 전해지는 전남 목포의 이야기이다. ‘목포의 눈물’을 흥얼거리며 대표적 관광지인 유달산, 삼학도, 고하도, 갓바위 등을 돌아보자. 조금만 귀 기울이면 목포가 들려주는 무수한 옛 이야기 속에 오늘날의 목포를 발견할 수 있다.

마지막 열 번째는 제주를 창조한 거인 신 설문대할망 이야기이다. 제주도 곳곳에 남아있는 설문대할망의 흔적을 찾아보자. 우리에게 익숙했던 제주가 아닌 할망의 따뜻하고 소박한 마음을 닮은 새로운 제주를 만날 수 있다. 

목차

Chapter01. 그날 섬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나(인천 강화도)
[Map] 강화도 답사지도
<강도몽유록>을 찾아서
강화전쟁박물관에서
금성탕지(金城湯池)와 경징이풀
연미정에서 귀신 상상하기
강화산성 북문과 고려궁지
남문 안파루에 올라 보니
우리에게 뿌리내릴 희망을 상상하며
[여담] 갑곶의 탱자나무

Chapter02. 길 위의 여인들(경기도 양주)
[Map] 양주 답사지도
양소저를 찾아 양주로
양일점, 그녀가 궁금하다면
마지막 시구 ‘명조승학하양주(明朝乘鶴下楊洲)’
승학교와 승학교의 전설
노고산과 게너미고개
술독을 엎어놓고 길을 떠나다 - 회천 독바위와 길 위의 여인들
[여담] 독바위 안내판

Chapter03. 바다가 삼킨 애랑과 수로부인(강원도 삼척)
[Map] 삼척 답사지도
애랑을 찾아서
죽서루와 시선
<관동별곡>에서 죽서루를 찾다
애바위 전설
척주동해비
애랑이 사라지다
수로부인이 납치되다
알 수 없는 동해 용의 마음
[Map] 죽서루와 임해정
조선 태조 이성계 5대조의 묘, 준경묘
명당의 조건이란
수로부인 미모에 반하다?
남다름을 생각하며
[여담] 수로부인헌화공원

Chapter04. 어긋난 사랑의 흔적들(경상북도 영주)
[Map] 영주(부석사, 소수서원) 답사지도
순흥이라 비봉산은
소수서원과 소혼대
청다리 이야기
금련이 사랑한 금성대군
금성대군 신단을 보며
부석사 빗기 보기
선묘가 사랑하는 방식
우물 여인
어긋난 사랑과 영주 사과
그저 그뿐
[여담] 돌무더기(서낭)

Chapter05. 역사의 자취는 어디에나 있다(대구광역시)
[Map] 대구광역시 답사지도
왕건을 찾아 대구로
신숭겸 영각 유허비
평산신씨의 시조
왕건이 공산으로 간 이유는
공산 동수 전투(公山桐藪戰鬪)
상상해 본 견훤의 전략
넋은 이 자리에
도망가는 왕건을 따라서
홀로 앉아 슬픔에 젖어
왕건의 피신처
<도이장가>, 두 장수를 그리며
남은 자취가 영원토록
[여담] 동화사 마애불(磨崖佛)

Chapter06. 도깨비가 나타났다(경상북도 경주)
[Map] 경주 답사지도
도깨비에 홀리다
경주, 비형랑 그리고 도깨비
오릉에서 찾은 두두리의 흔적
귀교 - 비형랑의 자취를 따라
하룻밤 사이에 세워진 절 영묘사
박물관에서 찾은 도깨비의 흔적
도깨비의 모습
월성과 서쪽 언덕, 그리고 비형랑
다시 지금 경주
[여담] 경주 동궁과 월지

Chapter07. 세상의 모든 아랑에게(경상북도 밀양)
[Map] 밀양 답사지도
아랑과 밀양
아랑, 너의 이름은
아랑아, 아랑아
아랑도 반한 영남루에 오르다
못 다 핀 꽃, 아랑
아랑이 본 마지막 하늘
아랑은 왜?
아랑이 잠든 곳
정순의 화신? 소녀 아랑
21세기 아랑, 너의 이름은?
[여담] 밀양관아 앞에 있는 기념비

Chapter08. 미륵사에서 잊혀진 여인을 만나다(전라북도 익산)
[Map] 익산 답사지도
빗속의 미륵사지
당간지주와 석탑
선화공주, 미륵사를 세우다
또 하나의 왕비
서동, 마를 캐는 아이
쌍릉에서 듣는 서동요
오금산의 황금
무왕과 이야기들
선운사 창사 이야기
왕궁리 유적과 익산 프로젝트
익산을 떠나며
[여담] 결코 무너질 수 없는

Chapter09. 역사의 상흔과 슬픈 사랑의 노래(전라남도 목포)
[Map] 목포 답사지도
익숙한 곳으로 떠나는 여행
원한 품은 노적봉과 다산목의 전설
목포가 기억하는 충무공
용섬에서 107일 동안의 기억
신선들이 노니는 곳, 영달산
목포의 노래
바위에 남은 애환
님이 그리워 학이 된 처녀들
죽음 이후의 삶에 대해서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어서
호남선의 종착역, 목포
[여담] 총순구종명영세불망비

Chapter10. 거인 신의 발자국을 따라서(제주특별자치도)
[Map] 제주도 답사지도
홀로 훌쩍 떠나온 제주
설문대할망과 창조 신화
한라산과 삼백오름 탄생기
오름의 왕, 다랑쉬오름
성산일출봉에서 바느질을 하다
엉장메코지에 남은 소원
섭지코지에서 고기를 낚다
할망이 사라진 곳으로
인간의 길에서 만난 할망
순박한 마음을 안고 돌아오는 길
[여담] 할망이 주는 작별선물
- 색인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심우장
(심우장)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네트워크 이론으로 본 구비설화 이야기판의 구조와 특성」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기초교육원 강의교수, 광주과학기술원 기초교육원 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민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구술성에 바탕을 둔 구비문학의 새로운 이해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설화 속 동물 인간을 말하다 : 이야기동물원』(공저), 『옛이야기 속에서 생각 찾기』(공저), 『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공저),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공저) 등이 있다.
저자 : 박인희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주대, 명지대, 숭의여대 강사, 안양대 전임강사, 조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국민대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전시가와 글쓰기 교육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경덕왕대 향가 4수의 의미와 역할」, 「만전춘별사 4연 연구」, 「학술적 글쓰기에서 주제 선정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삼국유사 소재 향가 연구』, 『못 써도 괜찮은 실용글쓰기』(공저) 등이 있다.
저자 : 조재현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환상계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민대, 평택대 강사, 한국고전소설캐릭터사전 전임연구원(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원(박사후연수자)을 역임했으며 현재 국민대 교양대학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들의 특성과 의미를 조명하고 한글본 고전소설의 문학사적 가치와 의의를 조명하는 연구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학생들과 함께 문학을 통해 세상을 보는 여러 시선에 대해 이야기 나누기를 좋아한다.
논문으로 「<양소저전>연구」,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옥도전> 연구」, 「<어룡전> 이본에 대한 종합적 고찰과 연구방향」 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경기북부구전자료집Ⅰ,Ⅱ』(공편), 『영남구전민요자료집1-3』(공편), 『호남 구전자료집1-8』(공편), 『박만득박금단전』, 『송도말년 불가살이전』, 『고전소설의 환상세계』 등이 있다.
저자 : 김종찬
국민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 「이야기 축제의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출판콘텐츠실에서 근무 중이다. 2017년 나 홀로 시베리아 횡단 열차 여행을 계기로 서쪽으로 향하는 다년간의 개인 여행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저자 : 박예원
상명대학교 한국어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에서 시나리오를 전공하여 실기 석사(MFA)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어 국민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여 「복수형 고전서사 연구」로 2020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19년 무예시나리오 공모전에서 <내탕금>이라는 제목의 시나리오로 장려상을 수상한 바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